마태복음
연구 노트—13장
올라앉으셨고: 유대교 교사들은 앉아서 가르치는 관습이 있었다.—마 5:1, 2.
바닷가: 가버나움 근처의 갈릴리 바닷가에는 원형 극장처럼 생긴 지형 때문에 소리가 먼 곳까지 잘 전달되는 곳이 있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예수께서 배에서 하시는 말씀을 많은 무리가 들을 수 있었다.
비유: 그리스어 원어 파라볼레는 문자적으로 “곁에(함께) 두는 것”을 의미하는데, 잠언이나 비유를 가리킬 수 있다. 예수께서는 어떤 것을 설명하실 때 다른 비슷한 것에 비하는 방법 즉 ‘곁에 두는’ 방법을 자주 사용하셨다. (막 4:30) 그분은 대개 자신이 지어낸 짧은 이야기를 비유로 들어 도덕적•영적 진리를 이끌어 내셨다.
바위 땅: 흙에 바윗돌이 많이 섞여 있는 곳이 아니라 땅바닥이 바위로 되어 있고 흙이 조금밖에 없는 곳을 가리킨다. 비슷한 내용이 나오는 눅 8:6에는 얼마의 씨가 “바위 위에” 떨어졌다고 되어 있다. 그러한 지형에서는 씨가 필요한 수분을 얻을 수 있을 만큼 깊이 뿌리를 내리지 못한다.
가시덤불 속에: 예수께서는 다 자란 가시덤불이 아니라 밭을 쟁기질할 때 제거되지 않은 잡초를 말씀하신 것 같다. 그러한 잡초가 자라면 새로 심은 씨가 자라지 못하고 죽게 된다.
신성한 비밀: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는 그리스어 미스테리온이 28회 나오는데, 「신세계역」에서는 대부분 “신성한 비밀”로 번역되었다. 이 구절에서는 이 단어의 복수형이 사용되었으며 하느님께서 정하신 때까지 밝혀지지 않는 그분의 목적의 여러 부분들을 가리킨다. 이 신성한 비밀들은 하느님께서 정하신 때가 되면 그분이 이해력을 주기로 선택하신 자들에게만 온전히 밝혀진다. (골 1:25, 26) 일단 밝혀지고 나면, 하느님의 신성한 비밀은 최대한 널리 선포된다. 성경에서 “신성한 비밀”이라는 말이 “전하다”, “알려 주다”, “전파하다”, “밝혀지다”, “계시”와 같은 표현들과 함께 사용된 것을 보면 그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고전 2:1; 엡 1:9; 3:3; 골 1:25, 26; 4:3) 하느님의 신성한 비밀들 가운데 주된 비밀에서 중심을 이루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분 즉 그분이 약속된 “자손” 곧 메시아라는 점이다. (골 2:2; 창 3:15) 하지만 이 주된 신성한 비밀에는 하느님의 목적 안에서 예수에게 맡겨진 역할을 포함해 여러 부면이 있다. (골 4:3) 예수께서 이 구절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이 신성한 비밀들은 하늘 왕국, 즉 예수께서 왕으로 통치하시는 하늘 정부인 “하느님의 왕국”과 관련이 있다. (막 4:11; 눅 8:10. 마 3:2 연구 노트 참조)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 사용된 미스테리온이라는 단어는 고대 밀의(密儀) 종교 즉 신비주의 종교에서 말하는 미스테리온과 다르다. 기원 1세기에 성행한 다산의 신 숭배에 주로 기반을 둔 그러한 종교들은 그 종교의 신봉자들이 신비스러운 의식을 통해 불멸성을 얻고 직접적인 계시를 받고 신들에게 가까이 갈 수 있다고 약속했다. 그러한 비밀들은 분명 진리에 근거한 것이 아니었다. 신비주의 종교에 입교하는 사람들은 그 비밀을 누설하지 않겠다고 서약했으며, 따라서 그 비밀은 널리 선포되는 그리스도교의 신성한 비밀들과는 달리 신비에 싸이게 되었다. 성경에서 미스테리온이 거짓 숭배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신세계역」에서는 이 단어를 “신비”로 번역한다.—미스테리온이 “신비”로 번역된 세 경우를 보려면, 살후 2:7; 계 17:5, 7 연구 노트 참조.
진실로: 마 5:18 연구 노트 참조.
악한 자: 용어 설명 참조.
세상 제도: 그리스어 원어 아이온의 기본 의미는 “시대”이다. 이 단어는 특정한 기간이나 시대를 구분 짓는 상태나 특징을 가리킬 수 있다. 이 구절에서는 현 세상 제도에서 살면서 겪게 되는 염려나 문제와 관련해서 사용되었다.—용어 설명 “세상 제도(들)” 참조.
열매를 맺지 못하는: 말씀이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그리스어 원문을 “말씀을 들은 사람이 열매를 맺지 못한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가라지: 볏과에 속하는 독보리(Lolium temulentum)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 식물은 독성이 있으며 다 자라기 전에는 어린 밀과 매우 비슷하다.
덧뿌리고: 적의를 나타내는 이러한 행동은 고대 근동에서 생소한 일이 아니었다.
종들이: 일부 사본에는 “그들이”로 되어 있지만, 이 표현이 사본상으로 더 강력한 지지를 얻고 있다.
밀까지 뽑을 수 있으니: 밀과 가라지는 뿌리가 서로 얽혀 있었을 것이다. 가라지를 분명히 구별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뽑다 보면 밀도 함께 뽑힐 수 있었다.
가라지를 거두어서: 다 자란 독보리(마 13:25 연구 노트 참조)는 밀과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겨자씨: 이스라엘에는 야생에서 자라는 여러 종류의 겨자가 있다. 사람들이 많이 재배하는 종은 검은겨자(Brassica nigra)이다. 겨자씨는 직경이 1-1.6밀리미터이고 무게가 1밀리그램에 불과할 정도로 작지만, 다 자라면 나무처럼 커진다. 어떤 종류는 높이가 4.5미터까지 자란다.
모든 씨 중에 가장 작지만: 고대 유대 문헌에서 겨자씨는 크기가 아주 작은 것을 가리키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겨자씨보다 작은 씨들이 알려져 있지만, 예수 시대에는 갈릴리 지역의 농부들이 심고 거두던 씨 중에서 겨자씨가 가장 작았던 것 같다.
누룩: 빵을 부풀어 오르게 하기 위해 섞는 발효된 작은 반죽. 성경 시대에는 발효된 반죽을 약간 남겨 두었다가 나중에 빵을 만들면서 새 반죽에 섞었다. 성경에서 누룩은 흔히 죄나 부패를 상징하지만, (마 16:6 연구 노트 참조) 항상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레 7:11-15) 이 구절에서 예수께서는 일반적인 빵 굽는 과정에 대해 말씀하신 것이다. 그분은 좋은 것이 퍼지는 과정을 누룩으로 인해 반죽이 발효되는 과정에 비하신 것 같다.
서 말: 여기서 “말”로 번역된 그리스어 사톤은 히브리어 스아에 해당하는 단어이다. 1스아는 7.33리터이다.—창 18:6, 각주; 용어 설명 “스아” 및 부록 나14 참조.
예언자를 통해 하신 이런 말씀이 성취되게 하려는 것이었다: 이 구절은 시 78:2을 인용한 것으로, 여기에 나오는 “예언자”는 시편 필자이다. 그는 시 78에서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대하신 역사를 이야기하면서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했다. 그와 마찬가지로 예수께서도 자신을 따르는 무리와 제자들을 가르칠 때 비유를 많이 사용하셨다.—마 1:22 연구 노트 참조.
기초가 놓인 이래: 일부 고대 사본에는 “세상”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단어가 추가되어 있어서, 이 표현을 “세상의 기초가 놓인 이래”로 번역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 25:34 연구 노트 비교) 하지만 다른 고대 사본들에는 현재 본문에 번역된 것처럼 “세상”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단어가 들어 있지 않다.
‘사람의 아들’: 마 8:20 연구 노트 참조.
세상: 인류 전체를 가리킨다.
악한 자: 용어 설명 참조.
세상 제도: 또는 “시대”.—마 13:22; 24:3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세상 제도(들)”; “세상 제도의 종결” 참조.
종결 기간: 또는 “종결”. 그리스어 원어 신텔레이아는 마 13:40, 49; 24:3; 28:20; 히 9:26에도 나온다.—마 24:3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세상 제도의 종결” 참조.
불법: 마 24:12 연구 노트 참조.
이를 갈게: 마 8:12 연구 노트 참조.
가진 것을 다: 한 초기 사본에는 “다”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판타(모두; 전부)가 나오지 않지만, 현재의 번역 표현이 초기와 후기 사본들의 더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다.
진주: 성경 시대에 좋은 진주는 홍해, 페르시아만, 인도양에서 채취되었다. 그래서 예수의 말씀에 나오는 상인도 좋은 진주를 구하기 위해 여행을 하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적합하지 않은 것: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물고기를 가리킬 수 있다. 모세 율법에 따르면 그러한 물고기는 부정하기 때문에 먹을 수 없었다. 어쩌면 이 표현은 잡힌 물고기들 가운데 그 밖의 이유로 먹지 못하는 모든 물고기를 가리키는 것일 수도 있다.—레 11:9-12; 신 14:9, 10.
세상 제도의 종결 기간: 마 13:39; 24:3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세상 제도(들)”; “세상 제도의 종결” 참조.
강사: 또는 “학식 있는 사람”. 그리스어 그람마튜스는 율법에 정통한 유대교 교사들을 가리킬 경우 “서기관”이라고 번역된다. 하지만 이 구절에서는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도록 훈련받은 예수의 제자들을 가리킨다.
고향: 직역하면 “아버지의 고장”. 나사렛을 가리킨다. 그분의 직계 가족은 나사렛 출신이었다.
목수의 아들: “목수”로 번역된 그리스어 텍톤은 건축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기술자를 두루 일컫는 표현이다. 나무를 다루는 사람을 가리킬 경우, 이 표현은 집 짓는 일 또는 목재로 가구나 그 밖의 물건을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을 가리킬 수 있다. 기원 2세기의 순교자 유스티누스는 예수께서 “사람들 가운데 계실 때 쟁기나 멍에를 만드는 목수 일을 하셨다”고 기록했다. 고대 언어로 된 초기 성경 번역본들도 그분이 목수이셨음을 지지한다. 예수께서는 “목수의 아들”이라고 알려지셨을 뿐 아니라 “목수”라고도 불리셨다. (막 6:3) 그분은 양아버지 요셉에게서 목수 일을 배우셨을 것이다. 그 당시 남자아이들은 흔히 12세에서 15세 사이에 일을 배우기 시작하여 여러 해 동안 기술을 익혔다.
형제들: 성경에서 그리스어 아델포스는 영적 형제를 가리킬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예수의 이부동생들, 즉 요셉과 마리아 사이에 태어난 다른 아들들을 가리킨다. 마리아가 예수를 낳은 뒤에도 계속 동정녀로 살았다고 생각하는 일부 사람들은 여기에 나오는 아델포스가 사촌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는 “사촌”을 가리킬 때 아넵시오스라는 다른 단어를 사용한다. (골 4:10) 또한 눅 21:16에는 아델포스의 복수형과 싱게네스(사촌 등의 친족을 가리키는 단어)의 복수형이 함께 나온다. 이러한 예들을 볼 때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가족 관계를 알려 주는 단어들이 구분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야고보: 예수의 이부동생. 행 12:17(연구 노트 참조)과 갈 1:19에 나오는 야고보와 동일 인물일 것이며 야고보서를 기록했을 것이다.—약 1:1.
유다: 예수의 이부동생. 유다서를 기록했을 것이다.—유 1.
그들은 그분 때문에 걸려 넘어졌다: 또는 “그들은 그분에게 반감을 품었다; 그들은 그분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이 문맥에서 그리스어 스칸달리조는 비유적인 의미에서 걸려 넘어지는 것을 가리키는 표현으로서, “반감을 품다; 못마땅하게 여기다”를 뜻한다. 이 표현은 “그들은 그분을 믿으려 하지 않았다”로 번역할 수도 있다. 다른 문맥에서는 이 그리스어 단어가 죄를 짓거나 다른 사람이 죄를 짓게 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마 5:29 연구 노트 참조.
그분은 거기에서 기적을 많이 행하지 않으셨다: 예수께서 나사렛에서 많은 기적을 행하지 않으신 것은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상황이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나사렛 사람들에게는 믿음이 없었다. (막 6:5 연구 노트 참조) 의심을 품고 그분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들에게 하느님께서 주신 능력을 낭비해서는 안 되었다.—마 10:14; 눅 16:29-31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