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84 9/15 24면
  • 세계를 살펴봄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세계를 살펴봄
  • 깨어라!—1984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주요” 지진의 증가
  • 우주 경쟁
  • “익사 상태”에서 살아남
  • 옛 것이 최고
  • 체중 감소의 공포
    깨어라!—1983
  • ‘에어러솔’ 분무기는 어떠한 것인가?
    깨어라!—1978
  • 유인 우주 비행은 현재 어떤 입장에 있는가?
    깨어라!—1972
  • 세계를 살펴봄
    깨어라!—1978
더 보기
깨어라!—1984
깨84 9/15 24면

세계를 살펴봄

“주요” 지진의 증가

◆ 미국 지질학 조사서에 의하면, 1983년에 전세계적으로 70번의 “주요” 지진들이 일어났다. “이것은 1982년보다 14회가, 1981년보다 20회가 더 일어난 것이며, 1980년보다는 단 한번이 적었다”고 지구 물리학자 ‘웨이블리 퍼슨’은 말했다. ‘리히터’ 지진계로 진도 6.5 이상이거나 사상자와 상당한 재산상의 손해를 입히는 지진을 가리켜 주요 지진이라고 부른다. 관계 당국의 동 보고서는 이렇게 알려 준다. “지난 10년간, 1976년의 중공의 대지진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산되는 600,000 이상의 사망자들을 포함하여, 거의 칠십 오만명이 지진으로 말미암아 사망했다.”

우주 경쟁

◆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은 1992년까지 궤도에 영구적인 유인 우주 정거장을 설치하는 계획을 승인하였다. 「매클리인즈」지에 보고된 바와 같이, 대통령은 “외계를 식민지화하고자 하는 국가주의적인 미사 여구와 웅대한 계획으로 가득찬” 연설에서 성명을 발표했다. 다섯명의 남자와 두명의 여자—자기 분야의 전문가들—가 최초의 탑승원들이 되겠지만, 그러나 이것은 우주 정거장이 확장됨에 따라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주 왕복선은 부품과 장비를 궤도에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될 것이다. 비용은 얼마나 들 것인가? 이 일을 시작하는 데만 80억 ‘달러’(한화로 6조 4천억원)가 들 것으로 예상되며, 금세기 말까지는 아마 300억 ‘달러’(한화로 24조원)가 넘는 금액이 들 것이다. 이 계획에 반대가 없는 것은 아니다. ‘국립 과학 아카데미’에 따르면, 정거장을 만들 “과학적 필요는 없다”고 한다. 어떤 사람들은 시도된 실험을 비용이 조금 밖에 들지 않는 무인 인공위성으로 해낼 수 있다고 말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엄청난 예산 부족 때문에 사회 복지 예산이 삭감될 때의 희생을 한탄한다. 우주 정거장을 정당화할 유일한 설명은 국가적인 위신뿐이다. ‘레이건’ 대통령은 “우리는 우리가 최초이며, 최고라고 말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익사 상태”에서 살아남

◆ “일단 물에 빠져버린 사람은 끝나버린 것으로, 즉 죽은 것으로 누구나 생각해 왔다”고 ‘미네소타’ 대학의 저체온법 전문가인 ‘로버어트 포저스’ 박사는 말한다. “이제 우리가 알게 된 사실은 심지어 몸 전체가 찬물 속에 잠긴 지 한시간이나 지난 후라도 그 사람이 살아날 가능성이 있으며, 그를 소생시키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 일을 초래하는 생물학적 현상은 “포유류 잠수 반사 작용”이라고 불리며, 물의 온도가 섭씨 21도 이하일 때 일어난다. 이 현상은 피를 표피 및 말단 부분으로부터 돌려서 심장과 두뇌를 보호하기 위해 보내주는 일을 한다. 동시에, 신체가 급속히 식음으로써 생명에 필수적인 기관의 기능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준다. 두뇌의 신진 대사율이 신속히 떨어짐으로써 산소의 필요가 결정적으로 감소된다. 최근에 아이들이 “익사 상태”에서—비록 임상적으로는 사망이 선고되고 생명의 필수적 징후가 없었지만—아무런 두뇌 손상이나 다른 병증세 없이 생존한 예들은, 의사들에게 저체온 상태에 처해 있는, 물속에 잠긴 환자들을 포기하지 말 것을 가르쳐 주었다.

옛 것이 최고

◆ 2,000년 전 ‘헤롯’의 기술자들은 현대 ‘이스라엘’ 건축가들의 문제를 풀어 주었다. ‘런던’의 「선-텔레그래프」지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1971년 ‘아스돗’ 항구에 건설된 방파제가 침식되어 허물어져 가고 있었다. 이 문제를 풀 수가 없었던 그 기술자들은 ‘하이파’ 대학 해상 ‘센터’에 문의하였다. 이번에는 이 해상 ‘센터’ 측에서, ‘아스돗’에서 약 80‘킬로미터’ 북쪽에 있는 ‘가이사랴’에 ‘헤롯’ 왕이 건설한 방파제를 조사해 보았다. “우리는 ‘헤롯’의 기술자들이 ‘아스돗’에서 사용된 것보다 더 진보된 기술과 선견지명으로써 그들의 방파제를 건설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라고 그 대학의 ‘아브너 라한드’ 씨는 말했다. 고대의 방식, 즉 먼저 바다 밑을 돌과 자갈로 포장하여 견고하고 무너지지 않을 기초를 놓는 방법을 따름으로써, ‘아스돗’의 방파제는 재건되었으며, 그 이래 잘 유지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