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94 6/15 31면
  • 갈그미스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갈그미스
  • 깨어라!—1994
깨어라!—1994
깨94 6/15 31면

갈그미스

갈그미스

유브라데(유프라테스) 강의 주요 여울 중 하나가 있는 강 상류 서쪽 기슭에 자리 잡은 중요한 교역 중심지. 주된 교역로가 니느웨(니네베)에서 시작하여 하란(갈그미스[카르케미시]에서 불과 동쪽으로 약 88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을 지난 다음, 갈그미스에서 유브라데 강을 건너 레바논의 오론테스 계곡으로 이어졌고, 그 계곡에서부터 지중해로 가거나 남쪽의 팔레스타인과 애굽(이집트)으로 가는 다른 통로들이 있었다. 이 도시는, 지나가는 대상(隊商)들에게서 세금 형식으로 받는 수입이 있었으므로, 분명히 꽤 부유해졌을 것이다.

갈그미스가 상업적으로나 군사적으로나 전략 요충지였던 까닭에, 일찍부터 침략국들은 그 도시를 장악할 기회를 노렸다. 바로(파라오) 투트모스 3세(기원전 1500년경)는 갈그미스에서 전리품을 획득했고, 람세스 3세도 그 도시를 습격했다는 기록을 남긴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기원전 9세기)는 부풀린 염소 가죽 주머니를 매달아 띄운 뗏목을 타고 유브라데를 건넜다고 서술하며, 갈그미스 왕에게서 은 20달란트, 구리 100달란트, 철 250달란트, 그리고 금제품, 상아를 박아 넣은 가구, 아마포와 모직 옷 등 여러 전리품을 조공으로 받았다고 주장한다.

갈그미스가 이사야 10:9-11의 성서 기록에 등장하는데, 여호와께서는 그 구절에서 이스라엘과 유다에 대한 앗수르(아시리아)의 침공을 예언하셨다. 오만한 앗수르 통치자가 자기 세력을 당해 내지 못한 왕국들을 열거하면서 갈그미스를 언급하는 내용이 나온다. 의심할 바 없이, 이 말은 앗수르가 히스기야와 같은 시대 사람인 사르곤 2세를 통해 독립 왕국 갈그미스를 정복한 사실을 가리킨 것이다. 그 이래로 갈그미스는 앗수르 총독의 통치를 받았다.

그러던 중 앗수르의 수도인 니느웨가 함락된 후, 바로 느고(네코)가 앗수르인을 도우려고 군대를 이끌고 북쪽으로 올라왔다. 유다의 요시야 왕은 어리석게도 므깃도에서 그 애굽 군대를 물리치려고 하다가 그만 목숨을 잃었다(기원전 629년경). (역대 하 35:20-24) 기원전 625년에 갈그미스에서 애굽과 바벨론(바빌로니아) 군대 사이의 결전이 있었다.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이 이끈 바벨론 군대는 바로 느고의 군대를 꺾어 대승리를 거두고 시리아와 가나안을 휩쓸었다. 이 전투로 이 지역에 미치던 애굽 제국의 위세는 끝나게 되었다. 예레미야 46:2의 성서 기록은 바빌로니아 연대기의 기록(B.M. 21946)과 일치하며, 두 기록 다 애굽 군대의 패배를 묘사한다.

알레포(할라브)에서 북동쪽으로 약 100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인, 터키와 시리아의 국경 지대에 있는 예라블루스의 갈그미스 유적지에서 발굴 작업이 있었다. 현재 히타이트어라고 하는 언어로 기록된 문서가 많이 발견되었으며, 갈그미스는 기원전 1500-1000년에 약 이 세기 동안, 하투샤시에 수도를 둔 제국의 지배를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발견된 부조 가운데는 특히 스핑크스 상과 크룩스 안사타 표지, 즉 앙크가 새겨져 있어서, 애굽의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낸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