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전도 학교 복습
1990년 9월 3일 주부터 12월 24일 주까지에 걸쳐 신권 전도 학교 임명에서 다룬 내용을, 책을 덮고 하는 복습. 답을 쓰기 위하여 별지를 사용해서 할당된 시간 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넣을 것이다.
[주의: 필기 복습중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성서만을 사용할 수 있다. 질문 끝에 표시된 참조문들은 개인 연구 조사를 돕기 위한 것이다. 「파수대」 참조문 중에는 면과 항 수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각 문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대답하라
1. 행위에 의한 믿음을 격려한 야고보의 편지는 행위에 의해서가 아니고 믿음에 의한 구원을 강조한 바울의 기록과 반대된다. [「감」 246면 6항]
2. 요한 1서는 분명히 어느 특정한 회중이 아니라 전체 그리스도인 연합체를 위하여 기록된 것 같다. [「감」 255면 5항]
3. 하나님께로서 난 자는 모두 죄를 범하지 않는다. [「감」 255면 10항]
4. 요한 2서에 언급된 “택하심을 입은 부녀”는 그리스도인 회중을 가리킨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요한 2서 1) [「감」 256면 1항]
5. 요한 3서는 회중과 여행하는 감독자와의 관계에 대하여 흥미있는 점을 알려 준다. [「감」 258면 3항]
6. 유다는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의 이부 동생이라는 사실을 이용하였다. [「감」 259면 2항]
7. 이스라엘의 구원에 관한 예언들은 육적 이스라엘이 아니라 그리스도인 회중에 의해 성취된다. (로마 9-11장)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8/1 24면]
8. 여호와께서는 유혹을 제거해 주심으로써 “피할 길을 내” 주신다. (고린도 전 10:13)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74 64면]
9. 어떤 흉터를 남긴 “낙인”은 바울이 받은 신체적인 학대로 인한 것이었을 수 있다. (갈라디아 6:17, 새번역)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11/15]
10. ‘땅에 있는 모든 것을 모으는 일’은 기념 무덤에 있는 사람들이 예수의 음성을 듣고 나올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에베소 1:10)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11/15]
다음 질문들에 대답하라
11. 야고보는 죄에 관하여 무슨 교훈을 베푸는가? [「감」 248면 14항]
12. 베드로 전서는 그리스도인이 가져야 할 무슨 정신 기질을 알려 주는가? [「감」 250면 9항]
13. 베드로가 거짓 예언자와 선생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의 확실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강력한 예들 중 하나를 들라. [「감」 252면 5항]
14. 적그리스도는 어떻게 식별되는가? [「감」 255면 7항]
15. 로마서 10:9, 10(신세)에 언급된 “공개적 선포”는 첫째로 무엇에 적용되는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1/1 22면과 6/15 29면]
16. 장로들은 “주 안에서만” 결혼하라는 하나님의 교훈의 심각성을 어떤 두 가지 면으로 강조할 수 있는가? (고린도 전 7:39)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2 9/1 24면]
17. 우리의 믿음에 도전이 되는 “불화살”이란 무엇인가? (에베소 6:16, 새번역)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11/15]
18. 바울이 추구한 “목표”는 무엇이었는가? (빌립보 3:13, 14, 새번역)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11/15]
다음의 각 문장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단어나 구를 써넣으라
19. 야고보는 우리가 자신의 계획을 자랑하지 말고 ․․․․․․․ 이것 저것을 하리라고 말해야 한다고 교훈하였다. [「감」 247면 12항]
20. 우리는 여호와의 날의 도래에 관해 조급해 할 것이 아니라, 그분의 참으심이 다른 많은 사람에게 ․․․․․․․을 가져다 준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감」 253면 7항]
21. 일반적으로 요한의 세 편지는 ․․․․․․․년까지 완성되었으며, ․․․․․․․ 근처에서 기록되었다고 믿어진다. [「감」 254면 2항]
22. 유다는 불경건한 사람들이 영광스러운 자들을 모독해서는 안 됨을 설명하면서 ․․․․․․․의 좋은 본을 언급하였다. [「감」 260면 6항]
23. 로마서 13:1에 의하면, 세속 통치자들은 하나님의 ․․․․․․․에 의해서만 존재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8/1 24면]
24. 안디옥에서 ․․․․․․․이(가) 예루살렘에서 온 유대인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을 두려워하여 이방인 신자들에게서 떨어져 있자 ․․․․․․․은(는) 그를 책망하였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11/15]
25. 바울은 몹시 아팠던 ․․․․․․․에 관해 빌립보인들을 안심시켰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11/15]
다음의 각 문장 가운데서 정확한 대답을 선택하라
26. 베드로는 베드로 전서를 (로마; 예루살렘; 바벨론)에 있을 때 기록하였다. [「감」 249면 5항]
27. 베드로 후서는 아마 기원 (56; 64; 70)년 경에 기록되었을 것이다. [「감」 252면 3항]
28. 아마 (희랍 철학; 감정; 히브리어 성경)의 영향을 받아서, 고린도 회중의 일부 사람은 죽은 자의 부활이 없다고 말했을 것이다. (고린도 전 15:32)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9/15 25면]
29. 고린도 후서 3:18에서 바울은 (모세; 여호수아; 엘리야)의 경험을 언급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9/15 26면]
30. 바울은 (고린도인들; 마게도냐인들; 에베소인들)이 물질적으로 베푸는 면에서 능력 이상으로 관대했기 때문에 그들의 훌륭한 본을 언급하였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9/15 27면]
다음 성구들을 아래 열거된 문장들과 맞추라
로마 7:4; 고린도 전 4:9; 14:40; 고린도 후 6:7; 베드로 전 3:21
31. 하나님께서는 침례를 통해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 구원의 마련을 하신다. [「감」 250면 8항]
32. 바울과 그의 동료 일꾼들은 사방으로부터 공격을 받았지만 영적인 전쟁을 할 수 있도록 무장되어 있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9/15 27면]
33. 바울은 원형 경기장에서의 죽음에 관하여 언급하였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9/15 24면]
34. 우리는 집회들을 잘 조직함으로써 하나님께 영예를 돌린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9/15 25면]
35. 예수의 죽음으로 인해, 믿음을 가진 유대인들은 율법에 복종할 의무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8/1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