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전도 학교 복습
1993년 1월 4일 주부터 4월 19일 주까지에 걸쳐 신권 전도 학교 임명에서 다룬 내용을, 책을 덮고 하는 복습. 답을 쓰기 위하여 별지를 사용해서 할당된 시간 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넣을 것이다.
[주의: 필기 복습중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성서만을 사용할 수 있다. 질문 끝에 표시된 참조문들은 개인 연구 조사를 돕기 위한 것이다. 「파수대」 참조문 중에는 면과 항 수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각 문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대답하라
1. 성서 연구를 사회할 때 제기된 모든 질문을 한꺼번에 다 대답하지 않고 다음에 고려하기 위해 어떤 질문들은 보류해 두는 것이 때로는 좋을 수 있다. [「지」 94면 14항]
2. 신권 전도 학교의 주목적 중의 하나는 더 효과적인 야외 봉사를 하도록 우리를 돕는 것이다. [「지」 96면 1항]
3. 신권 전도 학교에서, 충고가 주어질 점들은 항상 이전에 노력할 점으로 학생에게 통지된 점들이어야 한다. [「지」 101면 7항]
4. 열왕기 상을 지지하는 고고학적 근거는 지금까지 전혀 없다. [「감」 65면 4항]
5. 충고자가 연사에게 단순히 잘했다고 말해 주거나 특정한 연설 요소를 다시 보고자 한다고 말해 주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지」 103면 15항]
6. 흔히 호별 방문 연설의 약점은 서론이 너무 길어, 집주인으로 하여금 방문한 증인이 언제 요점에 이를 것인가를 생각하게 한다는 점이다. [「지」 116면 14항]
7. 회중에 확성 장치가 있다면, 음량 면에서 학생 연사에게 충고할 필요가 없다. [「지」 117면 6항]
8. 학생 연설을 할 때 멈춤이 매우 중요하므로, 연사는 특별히 멈추고 싶은 곳을 원고나 골자에 표해 두도록 제안을 받고 있다. [「지」 120-1면, 20, 23항]
9. 엔돌의 영매술사의 예언은 어떤 면으로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무엘 상 28:19)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79 6 25면]
10. 다윗과 밧세바의 경험은 부모들에게 자신들의 행실이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깊이 깨닫게 해주어야 한다. (사무엘 하 12:13, 14)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문) 86 3/15 31면]
다음 질문들에 대답하라
11. 엘리와 사울이 실패한 원인은 무엇인가? [「감」 57면 27항]
12. 편지를 쓸 때 편지 받는 사람에 대한 관심을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가? [「지」 89면 13항]
13. 연설할 때 어떻게 효과적으로 청중의 주의를 성서로 이끌 수 있는가? [「지」 122면 3항]
14. 사무엘 하 18:8(「신세」)에 나오는 ‘숲은 칼보다 더 많은 사람들을 먹어 없앴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7 3/15 31면]
15. 누가 다윗으로 하여금 이스라엘 백성을 계수하게 하였는가? (사무엘 하 24:1)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2 7/15 5면]
16. 솔로몬이 열왕기 상 8:12에서 “여호와께서 캄캄한데 계시겠다 말씀”하셨다고 말한 이유는 무엇인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문) 79 7/15 31면]
17. 우리 시대에도 스바의 여왕 같은 사람들이 있음이 어떻게 증명되었는가? (열왕 상 10:4, 7) [주간 성서 읽기; 참조 「생」 149면 8항]
18. 무슨 고고학적 증거물이 열왕기 상 14:25, 26의 기록을 지지하는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창」 212면 31항]
19. ‘아사가 산당을 제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는 열왕기 상 15:14의 의미는 무엇인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1 4 34면 각주]
다음 각 문장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단어나 구를 써넣으라
20. 증거하기 위하여 편지를 쓸 때, 봉투 겉에 ․․․․․․․를 언제나 명시해야 한다. [「지」 87면 7-9항]
21. 연설을 준비할 때 개인적 추측을 피하기 위하여 ․․․․․․․을 사용하여야 하며, 그것에 의존해야 한다. [「지」 111면 13항]
22. 연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 그 이상의 내용을 소개하여서는 안 된다. [「지」 112면 19항]
23. 사무엘 상 25:37에서 나발이 ‘낙담하였다[‘마음이 죽었다’, 난외주]’고 알려 주는 것으로 보아, 그가 ․․․․․․․(를) 일으켰음이 분명하다. [주간 성서 읽기; 또한 「파」80 12 34면 참조]
24. 사무엘 하 7:12, 13에 언급된 계약은 ․․․․․․․이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2/1 14면]
다음 각 문장에서 정확한 대답을 선택하라
25. 예레미야가 기원전 (1040; 607; 580)년에 열왕기 상의 기록을 마쳤음이 분명하다. [「감」 64면]
26. 사무엘 하의 망라 기간은 기원전 (1180년경-1078년; 1077-1040년경; 1040-911년)이다. [「감」 59면 3항]
27. (청중에게 흥미있는 것; 연사로 하여금 열정적이 되게 해주는 것; 연설 목적에 도움이 되는 것)만을 서론에 사용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지」 114면 8항]
28. 오늘날, 현대의 장대한 자들 곧 라파의 아들들은 (횡포한 통치권; 교직자; 국제 연합)이다. (사무엘 하 21:18, 20, 난외주 참조)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1/1 20면 8항]
29. 열왕기 상 6:1에 의하면, 솔로몬은 기원전 (1037; 1034; 1020)년에 전 건축을 시작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감」 285면 8항]
30. 열왕기 상 18:21-40에서, 실제 쟁점은 어느 신이 (가장 많은 신자를 가지고 있는가; 위에 있는 권세의 지지를 받고 있는가; 섬김을 받아야 하는가)였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4 10/15 8-9면]
다음 성구들을 아래 열거된 문장들과 맞추라
사무엘 하 1:26; 6:6, 7; 13:14, 15; 열왕 상 1:1; 히브리 10:23-25
31. 각자에게는 집회에서 해설할 책임이 있다. [「지」 92면 7항]
32. 선한 의도라도 하나님의 요구 조건을 변경시키지는 못한다. [「감」 63면 30항]
33. “다른 양들”과 남은 자들 사이에는 사랑의 연합이라는 최상의 유대가 있다. (요한 10:16)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1/1 25-6면]
34. 젊은 남자가 소녀에게 욕정에 불타는 사랑을 나타내고 소녀와 관계를 가질 것을 요구한다는 이유만으로 그가 진실하게 소녀를 사랑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청」 140면 22항]
35. 연로한 사람들이 자기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은 특이한 일이 아니다. [주간 성서 읽기; 또한 「깨」 83 6/15 10면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