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전도 학교 복습
1994년 1월 3일 주부터 4월 18일 주까지에 걸쳐 신권 전도 학교 임명에서 다룬 내용을, 책을 덮고 하는 복습. 답을 쓰기 위하여 별지를 사용해서 할당된 시간 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넣을 것이다.
[주의: 필기 복습중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성서만 사용할 수 있다. 질문 끝에 표시된 참조문들은 개인 연구 조사를 돕기 위한 것이다. 「파수대」 참조문 중에는 면과 항 수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각 문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대답하라
1. 하나님의 은총을 입은 사람들은 결코 재난을 당하지 않는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2 9/15 4면]
2. 느헤미야 10:34에 의하면, 나무를 바치는 일이 율법에 명시되어 있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6 6/1 21면]
3. 욥기 31:1에서 욥이 자신을 변호하여 한 말은 마태 복음 5:27, 28에서 예수께서 가르치신 말씀과 일치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78 12/15 32면]
4. 그리스도 이전 1500여 년경에 욥은 부활에 대한 희망을 나타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욥 14:13과 「파」93 4/15 11면]
5.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은 암 하아레츠 즉 “땅의 사람들”을 뜻하는 히브리어 표현을 사용하여, 자기들이 먼지처럼 취급하는 일반 사람들을 지칭하였다. [「역」 85장]
6. 에스더 1:10-12의 기록을 통하여 분별력 있는 사람은 복종하고 순종하는 것이 아름다움을 지닌 것보다 더 가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79 8 14면]
7. 경건한 정성은 여호와와 그분의 방법에 대한 인식 때문에 생기는 그분에 대한 애착을 나타내는 것이다. [「숭」 19면 15항]
8. 누가 복음 16:19-31에 나오는 부자와 나사로에 관한 성서 이야기는 실화이다. [「역」 88장]
9. 누가 복음 16:9에서 예수께서 “불의의 재물”을 언급하신 것은 불법적인 방법으로 얻은 재물에 대해 말씀하신 것이다. [「역」 87장]
10. 누가 복음 17:34, 35에서, “데려감을 당”한다는 것은 멸망을 의미한다. [「역」 93장]
다음 질문에 대답하라
11. 욥기는 무슨 두 가지 중요한 질문을 다루고 있는가? [「감」 95면 1항]
12. 욥기 1:8의 내용은 욥이 시련받은 때를 정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 [「감」 95면 4항]
13. 예수께서는 무슨 의미로 추종자들에게 자기 친족을 “미워”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는가? (누가 14:26) [「역」 84장]
14. 요한 복음 11:26의 예수의 말씀은 언제 그리고 누구에게 문자적 의미 그대로 성취될 것인가? [「역」 90장]
15. 나사로가 죽은 자 가운데서 일으킴을 받은 것은 왜 특히 사두개인들에게 커다란 충격이 되었는가? [「역」 91장]
16. 예수께서 바리새인들에게 대답하시면서 “하나님의 나라[“왕국”]는 너희 안에[“사이에”] 있느니라”고 하신 말씀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누가 17:21, 「신세」 참조) [「역」 93장]
17. 누가 복음 18:11, 12에서 알려 주는 바와 같이, 그리스도인들은 바리새인의 어떠한 태도를 피해야 하는가? [「역」 94장]
18. 예수께서는 결코 죄를 범하지 않은 완전한 인간이셨는데도, 부유한 젊은 관원이 자기를 ‘선한 분’으로 부른 것에 반대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마가 10:17, 18) [「역」 96장]
19. 참다운 그리스도인 연합에 기여하는 두 가지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숭」 8면 8항]
20. 어떤 사람이 삼위일체를 믿는다고 말할 경우, 삼위일체를 논파하기 전에 그가 그 제목에 대한 자기 견해를 말해 보도록 권하는 것이 지혜로운 이유는 무엇인가? [「숭」 16면 10항]
다음 각 문장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단어나 구를 써넣으라
21. 욥기 3:14에 언급된 “거친 터”는 ․․․․․․․이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79 4/15 31면]
22. 에스더 시대의 유대인들처럼, 여호와의 증인은 적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하여 ․․․․․․․에 합당하게 호소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영) 86 3/15 25면]
23. 약 ․․․․․․․명의 인간 “서기”들이 성서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기는 하였지만 그 저자는 ․․․․․․․이시다. [「숭」 20면 2항]
24. 독립 정신은 ․․․․․․․에게서 비롯되었다. [「숭」 10면 10항]
25. 느헤미야는 자기가 기록한 책을 간단하고도 겸손한 이러한 요청으로 끝맺는다. ․․․․․․․ [주간 성서 읽기]
다음 각 문장에서 정확한 대답을 선택하라
26. 예수의 제자들은 (박해를 인내해야; 온유하게 말해야; 사람들에게 부패를 막는 영향을 미쳐야) 한다는 면에서 세상의 소금이다. [「역」 84장]
27. 요한 복음 1:1의 성구는 (일; 이; 삼)위를 언급한다. [「숭」 16면 11항(3)]
28. 시편 9:10에 의하면, 하나님의 이름을 안다는 것은 (단지 여호와라는 이름을 아는 것; 그분의 목적에 대해 얼마의 지식을 갖는 것; 그분의 권위를 존경하고 그분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을 의미한다. [「숭」 18면 14항]
29. 나사로, 마르다, 마리아는 (예루살렘; 베들레헴; 베다니)에서 살았다. [「역」 89장]
30. 창세기 1:1과 1:26에서 “하나님”으로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는 (아도나이; 엘로힘; 샤다이)이다. [「숭」 17면 11항(4)]
다음 성구들을 아래 열거된 문장들과 맞추라
느헤미야 13:23-27; 에스더 1:17-20; 욥 14:14, 15; 26:7; 잠언 3:5, 6
31. 지구를 지탱하는 보이는 수단이 없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2 5/15 5면]
32. 배우자를 구하는 참 하나님의 숭배자들은 여호와와 헌신한 관계에 있는 동료 신자와만 결혼해야 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6/1 14면]
33. 여호와께서는 죽은 사람들을 부활시키기를 간절히 원하신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0 5/1 7면]
34. 우리의 전체 생활 행로는 우리의 사고 방식과 우리의 동기가 하나님 지향적임을 증명해야 한다. [「숭」 10면 11항]
35. 합당한 권위에 대해 불경을 나타내는 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간 성서 읽기; 「파」79 8 1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