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말씀을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1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여호와의 증인과 성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영원한 생명을 얻을 자격을 갖추려면, ‘말씀을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기원 33년 오순절날 회개하고 침례를 받은 3000명이 그랬던 것처럼 말입니다. (사도 2:41) 이 사실은 오늘날 우리에게 무슨 책임을 부여합니까?
2 우리는 성서 연구생들이 여호와에 대한 정성을 발전시키도록 도울 필요가 있습니다. (디모데 첫째 4:7-10) 그렇게 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우리의 왕국 봉사」 1996년 6월호 삽입물 20항에서는 이렇게 제안합니다. “연구 과정을 통하여, 여호와의 특성에 대한 인식을 더해 줄 기회를 찾으십시오. 하느님에 대한 여러분 자신의 깊은 감정을 표현하십시오. 연구생이 여호와와의 따뜻한 개인적인 관계를 발전시킬 생각을 하도록 도우십시오.”
3 우리가 직면하는 도전: 거짓 종교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대부분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만 들이면 되는 숭배 방식에, 다시 말해서 자신들의 생활 방식에 실제적인 변화를 전혀 요구하지 않는 숭배 방식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디모데 둘째 3:5) 우리가 직면하는 도전은, 우리의 성서 연구생들이 참 숭배에는 하느님의 말씀을 듣기만 하는 자가 되는 것 이상이 관련되어 있음을 이해하도록 돕는 일입니다. 연구생들은 그들이 배운 것들을 생활에 적용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야고보 1:22-25) 그들의 개인 행실과 관련된 어떤 점이 하느님께 받아들여질 만하지 않다면, 그들은 “돌이켜” 옳은 일을 하여 그분을 기쁘시게 할 의무가 자신들에게 있음을 깨달을 필요가 있습니다. (사도 3:19)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해, 그들은 “기운을 다해 힘”써야 하며 진리를 지지하는 확고한 태도를 취해야 합니다.—누가 13:24, 25.
4 도덕과 관련된 여러 부면을 토의할 때, 성서 연구생에게 그런 문제들을 실제로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생활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될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 물어 보십시오. 연구생의 주의를 조직으로 이끌도록 하십시오. 연구생은 조직을 통해 진리를 배우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연구생에게 정기적으로 집회에 참석하도록 권고하십시오.—히브리 10:25.
5 가르칠 때 연구생의 마음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삼도록 합시다. 우리가 새로운 사람들을 감동시켜 그들이 하느님의 말씀을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침례를 받게 될 때, 우리는 큰 기쁨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데살로니가 첫째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