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 전도 학교 복습
1999년 5월 3일 주부터 8월 23일 주까지에 걸쳐 신권 전도 학교 임명에서 다룬 내용을, 책을 덮고 하는 복습. 답을 쓰기 위하여 별지를 사용해서 할당된 시간 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넣을 것이다.
[주의: 필기 복습 중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성서만 사용할 수 있다. 질문 끝에 표시된 참조문들은 개인 연구 조사를 돕기 위한 것이다. 「파수대」 참조문 중에는 면과 항 수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각 문장이 맞는지 틀리는지 대답하십시오
1. 부모는 자녀들을 합리적으로 다루기 위해 성서 원칙을 타협할 필요가 없다. [「결」 108면 14항]
2. 성서 전체의 주제는 약속된 “씨”가 다스리는 왕국을 통하여 여호와께서 입증되신다는 것이다. (창세 3:15, 「신세」 참조) [「감」 17면 30항]
3. 출애굽기에 기록된 사건들의 정확성을 증명하는 고고학적 증거 및 다른 외부 증거들은 거의 없다. [「감」 20면 4항]
4. 극도로 빈곤하게 사는 사람들은 왕국 권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재정적으로 기부할 수 있는 입장에 있지 않다. [「파」97 9/15 5면 7항]
5. 부모와 조부모에게 합당히 보답하는 것은 여호와께 드리는 우리의 숭배의 일부이다. (디모데 첫째 5:4) [「파」97 9/1 4면 1-2항]
6. 안식일을 지키는 것은 원래 여호와와 모든 나라 사이의 표징이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추」 237면 2항]
7. 자녀가 스스로 결정을 내리기 시작할 나이가 되면, 그는 자기 행동에 대해 더 큰 책임을 지게 되는데, 특히 하느님의 법과 관련해서 그러하다. (로마 14:12) [「결」 135면 17항]
8. 모세는 기원전 1513년에 레위기를 기록하였다. [「감」 25면 3-4항]
9. 누가 21:20, 21에 기록되어 있는 예수의 말씀은 기원 66년에 성취되었다. 그 해에 티투스 장군 휘하의 로마 군대는 예루살렘에서 퇴각하였다. [「파」97 4/1 5면 3-4항]
10. 에피쿠로스의 가르침은, 고린도 첫째 15:32에 설명되어 있는 믿음 없는 그의 견해에 근거해 있었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에게 위험하였다. [「파」97 11/1 24면 4항]
다음 질문에 대답하십시오
11. 레위기 3:17에 기술되어 있는, 기름을 먹지 말라는 금지 사항으로부터 우리는 무슨 교훈을 배울 수 있는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4 6/1 8면 3항]
12. 여호와께서 사탄 마귀가 존재하도록 허락해 오신 이유는 무엇인가? (출애굽 9:15, 16)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2 3/15 10면 14항]
13. 가족 성원 중 한 사람이 중병에 걸릴 경우, 우선 해야 할 일들을 정하기 위해 가족이 취해야 할 첫 번째 단계는 무엇인가? (잠언 15:22) [「결」 122면 14항]
14. 이스라엘 나라는 어떤 의미에서 “제사장 왕국”이었는가? (출애굽 19:6, 「신세」 참조)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5 7/1 16면 8항]
15. ‘단순한’ 눈과 ‘악한’ 눈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마태 6:22, 23) [「파」97 10/1 26면 5항]
16. 잘못을 저질렀는데도, 다윗은 어떻게 “마음을 온전히 하고[“마음의 충절로”] 바르게” 걸었던 것으로 언급될 수 있었는가? (열왕 상 9:4, 「신세」 참조) [「파」97 5/1 5면 2항]
17. 이스라엘 사람들이 성막과 관련하여 “꼭 그대로” 행한 것은, 현대의 무슨 특권들을 전영하는가? (출애굽 39:32, 「신세」)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5 12/15 13면 9항]
18. 여호와께서 “나는 될 자가 될 것이다”라고 자신을 밝히신 사실은 무엇을 시사하는가? (출애굽 3:14, 「신세」)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5 3/1 10면 6항]
19. 레위기 10:1, 2에 기록되어 있는 나답과 아비후가 관련된 사건으로부터 무슨 교훈을 배우게 되는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4 6/1 8면 4항]
20. 모세의 율법하에서, 여자가 출산하면 왜 “부정”하게 되었는가? (레위 12:2, 5)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4 6/1 8면 6항]
다음 각 문장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단어나 구를 써넣으십시오
21. 외로움에는 기적의 치료제가 없지만, 홀어버이는 ․․․․․․․(으)로부터 오는 힘으로 외로움을 견딜 수 있다. 그런 힘은 꾸준한 ․․․․․․․(을)를 통해 얻게 된다. (디모데 첫째 5:5) [「결」 112면 21항]
22. 살면서 비극적인 일을 겪게 되는 것은, ․․․․․․․ 때문일 수도 있고 우리 자신의 ․․․․․․․ 때문일 수도 있다. [「파」97 5/15 22면 7항]
23. 출애굽기는 여호와께서 위대한 ․․․․․․․이자 ․․․․․․․이시고, 자신의 웅대한 목적의 ․․․․․․․이심을 밝혀 준다. [「감」 24면 26항]
24. 우리의 속 사람이 진실로 어떠한지를 밝혀 주는 것은, 우리의 ․․․․․․․ 행동이 아니라 주로 우리의 ․․․․․․․ 행동이다. [「파」97 10/15 29면 3항]
25. 수확제가 ․․․․․․․ 색채 혹은 ․․․․․․․의 특징을 띠고 있다면, 진정한 그리스도인들은 그러한 더럽혀진 숭배에 조금도 ․․․․․․․되지 않음으로써 여호와를 불쾌하시게 하는 일을 피할 것이다. [「파」97 9/15 9면 6항]
다음 각 문장에서 정확한 대답을 선택하십시오
26. 아브라함의 씨가 고통받는 기간인 “사백년”은 기원전 (1943년; 1919년; 1913년)에 이스마엘이 이삭을 조롱한 때부터 시작하여 기원전 (1543년; 1519년; 1513년)에 이집트에서 구출된 때에 끝났다. (창세 15:13) [「감」 17면 31항]
27. 가족이 심각한 병에 성공적으로 대처할 것인지의 여부는 가족 성원들의 (재정적 안정; 태도; 보험)에 크게 달려 있다. (잠언 17:22, 「신세」 참조) [「결」 120면 10항]
28. 그 마음에 이르기를 “하나님이 없다”고 하는 자들은 “어리석은 자”라고 불리는데, 그러한 사람은 (도덕적으로 결함이 있기; 교육을 받지 못하였기; 추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시 14:1) [「파」97 10/1 6면 8항]
29. 아담과 하와가 반역하였을 때, 그들이 상실한 가장 중요한 것은 (완전성; 하느님과의 관계; 정원 같은 집)이었다. 그것은 그들에게 행복의 열쇠였다. [「파」97 10/15 6면 2항]
30.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는 성서의 다른 어느 책보다도 더 자주 거룩함에 관한 요구 조건을 언급한다. [「감」 26면 9항]
다음 성구들을 아래 열거된 문장들과 맞추십시오
출애굽 5:2; 출애굽 21:29; 잠언 1:8; 갈라디아 5:20; 야고보 1:14, 15
31. 누구든지 그리스도인이라고 주장하면서, 가족 성원들에 대한 신체적 학대를 포함해서 반복적으로 회개하지 않고 화를 격렬하게 터뜨리는 일에 빠질 경우, 제명될 수 있다. [「결」 150면 23항]
32.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은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에서 시작된다. [「결」 148면 18항]
33. 여호와 하느님께서는 자신의 신격을 인정하기를 오만하게 거부하는 모든 자들이 수치를 당하게 하신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2 12/15 13면 18항]
34. 성서는 자녀를 교육할 우선적인 책임을 아버지에게 부여하지만, 어머니 역시 해야 할 중요한 역할이 있다. [「결」 133면 12항]
35. 율법은 어떤 사람이 생명을 잃게 되었을 때 태만을 자비를 구하는 근거로 허용하지 않았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95 11/15 11면 5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