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연구 노트—28장
안식일: 직역하면 “안식일들”. 이 구절에는 그리스어 단어 삽바톤의 복수형이 두 번 나온다. 처음에 나오는 것은 일반적인 안식일 즉 일주일 중 일곱 번째 날을 가리키며, “안식일”로 번역되었다. 두 번째로 나오는 것은 일주일이라는 기간을 가리키며, 주간이라고 번역되었다. 안식일(니산월 15일)은 해가 지면서 끝났다. 이 구절의 내용이 “안식일이 지나고” 황혼 무렵에 있었던 일이라고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다른 복음서 기록들을 살펴보면 여자들이 무덤을 보러 간 것은 “해가 돋았을 때”인 니산월 16일 아침 “일찍”이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막 16:1, 2; 눅 24:1; 요 20:1. 또한 용어 설명 및 부록 나12 참조.
주간 첫날: 니산월 16일을 가리킨다. 유대인들에게는 안식일 바로 다음 날이 한 주가 시작되는 날이었다.
다른 마리아: 마 27:61 연구 노트 참조.
여호와의 천사: 마 1:20 연구 노트 및 부록 다1 및 다3 소개; 마 28:2 참조.
그분의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하십시오. ‘그분이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일으켜지셨습니다’: 이 여자들은 제자들 중 처음으로 예수의 부활에 대해 알게 되었을 뿐 아니라, 다른 제자들에게도 그 사실을 알리라는 지시를 받았다. (마 28:2, 5, 7) 유대인의 전통에 따르면 여자는 법정에서 증언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러한 전통은 성경에 근거한 것이 아니었으며, 여호와의 천사는 여자들에게 이 기쁜 일을 수행하도록 지시함으로 그들을 존중했다.
무덤: 또는 “기념 무덤”.—용어 설명 “기념 무덤” 참조.
경배했다: 또는 “몸을 굽혔다; 엎드렸다; 경의를 표했다”.—마 8:2; 14:33; 15:25 연구 노트 참조.
나의 형제들: 예수께서 자신의 제자들을 “형제”라고 부르신 것은 그들이 예수와 친밀한 관계를 누리면서 그분의 아버지를 섬기고 있었기 때문이다.—마 28:16 참조. 마 25:40; 요 20:17; 히 2:10-12 비교.
장로들: 마 16:21 연구 노트 참조.
이 일: 군인들이 잠들었다는 거짓말을 가리킨다. 로마 군인들은 근무 중에 잠들 경우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총독: 본디오 빌라도를 가리킨다.
모이라고: 갈릴리에 모인 사람의 수는 500명 이상이었던 것 같다.—고전 15:6.
어떤 사람들은 의심했다: 고전 15:6의 내용을 볼 때, 의심한 사람들은 사도들이 아니라 갈릴리에 모인 제자들 중 부활된 예수를 처음 본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모든 민족의 사람들: 직역 표현은 “모든 민족”이지만, 여기서는 그 민족에 속한 개개인들을 가리킨다. 뒤에 나오는 그들에게 침례를 주고라는 표현에서 “그들”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대명사가 남성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중성 명사인 “민족”이 아니라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모든 민족의 사람들”에게 가서 전파하라는 명령은 새로운 것이었다. 성경에 따르면, 예수께서 전파 활동을 하시기 전에는 이방인이 여호와를 섬기기 위해 이스라엘로 올 경우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그분을 섬길 수 있었다. (왕상 8:41-43) 하지만 이제 예수께서는 유대인이 아닌 사람들에게 전파 활동을 확장하라고 제자들에게 명령하심으로 그리스도인이 제자 삼는 활동을 세계적인 규모로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신다.—마 10:1, 5-7; 계 7:9. 마 24:14 연구 노트 참조.
제자로 삼아: 또는 “학생으로 삼아”. 이 표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동사 마테튜오의 기본 의미는 학생이나 제자로 삼으려는 목적을 가지고 “가르치다”이다. 마 13:52에서는 이 단어가 “가르침을 받은”으로 번역되었고, 마 27:57에서는 “제자였다”로 번역되었다. 행 14:21에서는 바울과 바나바가 데르베에서 “많은 사람을 제자로 삼은” 일을 언급하는 데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 이 구절과 다음 구절에 “침례를 주라”는 말과 “가르치라”는 말이 나오는 것을 볼 때 “제자로 삼으라”는 명령을 따르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이 단어와 어근이 같은 그리스어 명사 마테테스에 대해 알아보려면, 마 5:1 연구 노트 참조.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 여호와 하느님은 창조주이시자 우리에게 생명을 주신 분이므로 아버지이신 여호와의 권위와 지위를 인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시 36:7, 9; 계 4:11) 또한 성경에서는 하느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아들이 수행하는 역할을 인정하지 않으면 그 누구도 구원을 받을 수 없다고 알려 준다. (요 14:6; 행 4:12) 그에 더해 하느님의 성령의 역할을 인정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데, 무엇보다도 하느님께서 자신의 활동력인 성령을 사용하여 생명을 주시고, (욥 33:4) 자신의 말씀을 전달하시며, (벧후 1:21) 자신의 뜻을 행하도록 사람들에게 능력을 주시기 때문이다. (롬 15:19) 일부 사람들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 이처럼 함께 열거되었다는 사실이 삼위일체 교리를 뒷받침한다고 생각하지만, 성경에는 이 셋이 영원성이나 능력이나 지위에 있어서 동등하다는 암시가 전혀 없다. 이들이 같은 구절에 함께 나온다고 해서 신성과 영원성과 지위가 동등한 존재라는 뜻은 아니다.—막 13:32; 골 1:15; 딤전 5:21.
성령: 또는 “거룩한 영; 거룩한 활동력”. “영”(그리스어로는 중성 명사)이라는 단어는 하느님에게서 나와 작용하는 비인격적인 힘을 가리킨다.—용어 설명 “성령”; “영” 참조.
이름으로: “이름”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오노마에는 개인의 이름 이상의 의미가 들어 있다. 이 문맥에서는 아버지와 아들의 권위와 지위를 인정하고 성령의 역할을 인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그렇게 할 때 하느님과 새로운 관계를 누리게 된다.—마 10:41 연구 노트 비교.
가르치십시오: “가르치다”로 번역된 그리스어에는 교훈하고 설명하고 논증을 사용하고 증거를 제시한다는 뜻이 들어 있다. (마 3:1; 4:23 연구 노트 참조) 예수께서 명령하신 모든 것을 지키도록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일은 계속되는 과정이며, 그렇게 하는 것에는 그들도 예수께서 가르치신 것을 가르치고 그분의 가르침을 적용하고 그분의 본을 따르도록 돕는 것이 포함될 것이다.—요 13:17; 엡 4:21; 벧전 2:21.
세상 제도: 또는 “시대”.—용어 설명 “세상 제도(들)” 참조.
종결: 마 24:3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세상 제도의 종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