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연구 노트—12장
유월절 6일 전에: 예수께서는 안식일인 니산월 8일이 시작될 무렵, 즉 해가 질 무렵에 도착하셨을 것이다. 그리고 안식일 다음 날인 니산월 9일이 시작될 무렵, 나병 환자 시몬의 집에서 마르다와 마리아와 나사로와 함께 저녁 식사를 하셨다.—요 12:2-11. 마 26:6 연구 노트 및 부록 가7 및 나12 참조.
베다니: 마 21:17 연구 노트 참조.
나사로: 눅 16:20 연구 노트 참조.
만찬: 해가 지고 니산월 9일이 시작된 후에 나병 환자 시몬의 집에서 있었던 저녁 식사를 가리킨다.—마 26:6; 막 14:3.
마리아: 마르다의 자매이자 나사로의 누이인 마리아를 가리킨다. (요 11:1, 2) 평행 기록인 마 26:7과 막 14:3에서는 “여자”로 언급된다.
매우 비싼 향유: 이어지는 요한의 기록에 따르면, 가룟 유다는 이 향유를 “300데나리온”에 팔 수 있다고 말했다. (요 12:5) 300데나리온은 일반 노동자의 약 1년 치 품삯에 해당했다. 일반적으로 이 향유는 히말라야산맥에서 발견되는 방향성 식물인 감송풀(Nardostachys jatamansi)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물질을 섞은 것이거나 가짜인 나드가 많았지만 마가와 요한은 둘 다 이 향유가 순수한 나드였다고 말한다.—막 14:3. 용어 설명 “나드” 참조.
파운드: 그리스어 리트라는 일반적으로 로마파운드(라틴어 리브라)와 동등한 단위로 생각된다. 따라서 약 327그램이었다.—부록 나14 참조.
예수의 발에 붓고: 막 14:3 연구 노트 참조.
그분을 배반하려 하는: 이 표현에는 2개의 그리스어 동사(“~하려 하다”와 “배반하다”)가 함께 사용되었는데 둘 다 현재 시제로 되어 있다. 이것은 유다가 예수를 배반한 것이 충동적인 행동이 아니라 전부터 생각한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요 6:64의 기록은 그 점을 뒷받침한다.—요 6:64 연구 노트 참조.
300데나리온: 막 14:5 연구 노트 참조.
내 장례일을 내다보고 관습대로 행하는: 마 26:12 연구 노트 참조.
거기에: 베다니를 가리킨다.—요 12:1.
이튿날: 기원 33년 니산월 9일 아침을 가리킨다. 니산월 9일은 그 전 저녁에 해가 지면서 시작되었다. 그 저녁에 예수께서는 나병 환자 시몬의 집에서 식사를 하셨다.—요 12:1 연구 노트 및 부록 나12 참조.
축제: 문맥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축제는 유월절을 가리킨다. (요 11:55; 12:1; 13:1) 유월절은 니산월 14일에 지켰고 니산월 15일부터 21일까지는 무교절이 계속되었다. (레 23:5, 6; 민 28:16, 17. 부록 나15 참조) 유월절과 무교절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예수 시대에는 니산월 14일부터 21일까지 8일 전체가 하나의 축제로 여겨졌다. (눅 22:1) 요세푸스는 “무교절이라고 불리는 8일간의 축제”에 대해 언급했다.—부록 나12 참조.
부디, 구원해 주십시오: 마 21:9 연구 노트 참조.
여호와: 이 구절에서 인용한 시 118:25, 26의 히브리어 원문에는 네 개의 히브리어 자음으로 표기된 하느님의 이름(יהוה, 로마자로 음역하면 YHWH)이 나온다.—부록 가5 및 다 참조.
이렇게 기록된 것과 같다: 이어지는 요 12:15의 내용은 슥 9:9을 인용한 것이다.
딸 시온: 마 21:5 연구 노트 참조.
어린 나귀: 이 사건에 관한 마가복음(11:2), 누가복음(19:35), 요한복음의 기록에는 어린 나귀 한 마리만 언급되어 있다. 마태복음(21:2-7)에는 어미 나귀도 함께 있었다는 점이 언급되어 있다.—마 21:2, 5 연구 노트 참조.
무덤: 또는 “기념 무덤”.—용어 설명 “기념 무덤” 참조.
그리스인: 1세기에 이스라엘에는 그리스인들이 모여 살던 지역이 많이 있었다. 하지만 이 문맥에서 이 단어는 유대교로 개종한 그리스인을 가리키는 것 같다. 요 12:32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예수의 예언적인 말씀은 유의할 만하다. “내가 ··· 모든 부류의 사람을 내게로 이끌 것입니다.”
목숨: 또는 “영혼”.—용어 설명 “영혼” 참조.
섬기려면 ··· 섬기면: 또는 “봉사하려면 ··· 봉사하면”. 여기 사용된 그리스어 동사 디아코네오는 이 구절에서 섬기는 사람(또는 “봉사자; 종”)으로 번역된 그리스어 명사 디아코노스와 어근이 같다. 성경은 그리스어 디아코노스를 다른 사람을 위해 쉬지 않고 겸손하게 봉사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종종 사용한다.—마 20:26 연구 노트 참조.
내가: 또는 “내 영혼이”. 그리스어 프시케는 「신세계역」 이전 번역판에서 “영혼”으로 번역되었는데, 여기서는 어떤 사람의 전체를 가리킨다. 따라서 “내 영혼”은 “내 전부” 또는 단순히 “나”라고 옮길 수 있다.—용어 설명 “영혼” 참조.
음성: 복음서 기록에는 여호와께서 사람에게 직접 말씀하신 경우가 세 번 나오는데, 이것은 그중 세 번째이다. 첫 번째는 마 3:16, 17; 막 1:11; 눅 3:22에 나오는데 기원 29년에 예수께서 침례받으실 때였다. 두 번째는 마 17:5; 막 9:7; 눅 9:35에 나오며 기원 32년에 예수께서 변형되신 일과 관련이 있다. 세 번째는 요한복음에만 나온다. 이 일은 기원 33년에 예수께서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시기 얼마 전에 있었다. 예수께서 “아버지의 이름을 영광스럽게 하십시오”라고 청하자 여호와께서 그에 대해 응답하신 것이다.
이 세상의 통치자: 이와 비슷한 표현이 요 14:30; 16:11에도 나오는데 사탄 마귀를 가리킨다. 이 문맥에서 “세상”(그리스어 코스모스)은 하느님에게서 멀어져 있고 그분의 뜻과 어긋나게 행동하는 인간 사회를 가리킨다. 이 불의한 세상은 하느님께서 만드신 것이 아니며 “악한 자의 지배 아래 있다.” (요1 5:19) 사탄과 “하늘에 있는 악한 영의 세력들”은 보이지 않게 활동하는 “이 어둠의 세상 통치자들[그리스어 코스모크라토르의 한 형태]”이다.—엡 6:11, 12.
쫓겨날 것입니다: 예수께서는 미래에 사탄이 이 세상의 통치자 자리에서 쫓겨날 때에 대해 예언하신 것이다.
내가 땅에서 들어 올려지면: 이어지는 구절에서 알려 주듯이, 예수께서 기둥에 달려 처형되시는 것을 가리키는 것 같다.
모든 부류의 사람: 예수께서는 국적, 인종, 경제적 형편에 관계없이 온갖 배경의 사람들을 자신에게로 이끌 것이라고 말씀하신다. (행 10:34, 35; 계 7:9, 10. 요 6:44 연구 노트 참조)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기 얼마 전에 ‘그리스인 몇 명’이 예수를 만나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점은 유의할 만하다. (요 12:20 연구 노트 참조) 많은 번역판에서는 그리스어 파스를 “모든 사람; 모든 이”로 번역한다. 그럴 경우, 예수께서 하신 말씀은 그분이 결국 모든 사람을 자신에게로 이끄실 것이라는 의미가 된다. 하지만 그것은 영감받은 성경의 나머지 부분과 조화되지 않는다. (시 145:20; 마 7:13; 눅 2:34; 살후 1:9) 그리스어 파스의 문자적인 의미가 “모두; 모든 사람”이기는 하지만 (롬 5:12) 마 5:11과 행 10:12을 보면 이 단어가 “온갖; 온갖 종류의; 모든 부류의”를 의미할 수도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많은 번역판이 그 구절들에서 “온갖; 각종” 같은 번역 표현을 사용한다.—요 12:32과 비슷한 경우를 보려면 요 1:7; 딤전 2:4 비교.
여호와여: 이 구절에서 인용한 사 53:1의 히브리어 원문에는 하느님의 이름이 단 한 번 나오는데, “여호와의 팔”이라는 표현에 사용되었다. 하지만 요한은 그리스어 「칠십인역」의 표현을 인용한 것 같다. 「칠십인역」에서는 사 53:1이 키리오스(주)의 호격(어떤 대상을 부르는 말) 형태로 시작한다. (사 53:1이 인용된 또 다른 구절인 롬 10:16 참조) 「칠십인역」의 번역자들이 이사야가 하느님께 질문하는 것이라는 점을 독자가 분명히 알 수 있도록 맨 앞에 하느님의 이름을 삽입했을 수 있다. 「칠십인역」의 후기 사본들에서는 히브리어 원문에 나오는 테트라그람마톤을 키리오스로 바꾼 경우가 많다. (실제로 그 사본들에서는 사 53:1의 “여호와의 팔”에 해당하는 표현에 키리오스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신세계역」 본문에서는 여호와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을 히브리어로 옮긴 여러 번역판(부록 다4에 J12, 14, 16-18, 22, 23으로 표기됨)은 요 12:38에서 키리오스의 호격이 나오는 자리에 하느님의 이름을 사용한다.
여호와의 팔: 이 구절에서 인용한 사 53:1의 히브리어 원문에는 네 개의 히브리어 자음으로 표기된 하느님의 이름(יהוה, 로마자로 음역하면 YHWH)이 한 번 나온다. (이 구절에 나오는 여호와여에 대한 연구 노트 및 부록 가5 및 다 참조) 팔에 해당하는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단어는 성경에서 비유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힘을 사용하는 능력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예수께서 행하신 표징과 기적을 통해, 여호와께서는 자신의 “팔” 즉 힘을 사용하는 능력과 위력을 보여 주셨다.
이사야가 ··· 그분의 영광을 보았기 때문이다: 이사야는 여호와께서 하늘 궁정에서 자신의 높은 왕좌에 앉아 계신 환상을 보았다. 그 환상 가운데서 여호와께서는 이사야에게 이렇게 물으셨다.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까?” (사 6:1, 8-10) 복수 대명사 “우리”가 사용된 것을 볼 때 이 환상에서 하느님 곁에 적어도 한 인격체가 더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절에 나오는 ‘이사야가 본 그분의 영광’은 예수께서 인간이 되시기 전에 여호와 곁에서 누리시던 영광을 가리킨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요 1:14) 이것은 창 1:26과 같은 성구들과도 조화를 이룬다. 창 1:26에서 하느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우리가 우리의 형상대로 ··· 사람을 만들자.” (또한 잠 8:30, 31; 요 1:1-3; 골 1:15, 16 참조) 또한 이 구절(요 12:41)에서 요한은 이사야가 그분 즉 그리스도에 대해 말했다고 언급한다. 이사야의 기록의 많은 부분이 예언된 메시아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지도자들: 여기서 “지도자들”로 번역된 그리스어 단어는 유대인의 최고 법원인 산헤드린의 구성원들을 가리키는 것 같다. 이 단어는 요 3:1에서 니고데모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는데, 그도 산헤드린 성원이었다.—요 3:1 연구 노트 참조.
회당에서 추방당할까 봐: 요 9:22 연구 노트 참조.
심판하지 ··· 심판하기: 또는 “정죄하지 ··· 정죄하기”.—요 3:17 연구 노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