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연구 노트—25장
그 속주: 로마 속주인 유대를 가리킨다. 총독 관저는 카이사레아에 있었다. 와서 부임한으로 번역된 그리스어 표현은 페스투스가 속주 총독의 직무를 수행하기 시작한 것을 가리키는 것 같다.
카이사르: 또는 “황제”. 당시 로마 황제는 네로였다. 그의 통치는 기원 54년에 시작되어, 그가 31세의 나이로 자살한 때인 기원 68년에 끝났다. 행 25장에서 28장에 언급된 카이사르는 모두 네로를 가리킨다.—마 22:17; 행 17:7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참조.
저는 카이사르에게 상소합니다!: 성경에는 바울이 로마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행사한 경우가 세 번 나오는데, 이것은 그중 세 번째이다. (다른 두 경우에 대해 알아보려면, 행 16:37; 22:25 연구 노트 참조) 이처럼 카이사르에게 상소하는 일은 판결이 내려진 후에도 할 수 있고 재판 도중에도 언제든 할 수 있었다. 페스투스는 이 사건에 대한 판결을 직접 내리고 싶어 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으며, 예루살렘에서 재판을 받을 경우 공정한 판결을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바울은 로마 제국의 최고 법정에서 재판을 받게 해 달라고 정식으로 청원한 것이다. 도둑이나 해적이나 폭동을 일으키다가 현장에서 붙잡힌 사람 같은 경우에는 상소를 제기해도 기각될 수 있었던 것 같다. 아마도 그런 이유에서 페스투스는 상소를 받아들이기 전에 “고문단”과 상의했을 것이다. (행 25:12) 그 후 헤롯 아그리파 2세가 방문했을 때 바울을 심문한 것은, 페스투스가 바울의 사건을 “아우구스투스” 네로에게 보내면서 제출할 더 명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였던 것 같다. (행 25:12-27; 26:32; 28:19) 바울이 상소한 것은 그가 이전에 말한 대로 로마에 가겠다는 뜻을 이루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 (행 19:21) 예수께서 바울에게 하신 예언적 약속과 후에 천사가 그에게 전해 준 소식은 이 일에 하느님의 인도가 있었음을 보여 준다.—행 23:11; 27:23, 24.
아그리파: 헤롯 아그리파 2세를 가리킨다. 그는 헤롯 대왕의 증손자였으며, 헤롯 아그리파 1세와 그의 아내 키프로스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다.—행 12:1. 용어 설명 “헤롯” 참조.
베르니케: 헤롯 아그리파 2세의 여동생. 소문에 따르면 헤롯 아그리파 2세가 그와 근친상간을 범했다고 한다. 후에 베르니케는 티투스가 로마 황제가 되기 전에 그의 정부가 되었다.
장로들: 이 구절에서는 유대 민족의 지도자들을 가리키는데, 그들은 흔히 수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함께 언급된다.—마 16:21 연구 노트 참조.
아우구스투스: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칭호. 여기에 사용된 그리스어 세바스토스는 라틴어 칭호인 아우구스투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경배받기에 합당한; 경배받는; 존엄한”을 의미한다. 일부 번역판에서는 “폐하” 또는 “황제 폐하”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이 구절에서 아우구스투스는 카이사르 네로(기원 54-68년)를 가리킨다. 그는 아우구스투스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받았던 옥타비아누스의 네 번째 계승자였다.—눅 2:1 연구 노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