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지가 많은 이유?
독자는 햇살 속에서 먼지 입자들이 나풀거리는 것을 흥미를 느끼며 바라본 적이 있는가? 그런데 바로 그 먼지가 가정 주부와 과학자들에게는 해롭고 나쁜 것이다. 며칠간만 집을 비웠다가 돌아와 보면, 방안에는 먼지가 소복하게 쌓여 있을 것이다. 먼지가 끼면 재봉틀이 돌아가지 않게 되고, 시계는 멎게 되며 컴퓨터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먼지를 그저 성가신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러나, 먼지가 전혀 없다면 우리가 무엇을 잃게 될 것인지 독자는 생각해 본 일이 있는가?
먼지는 유익할 수도 있다. 대기 중에 먼지가 없다면 비나 눈이 훨씬 적게 내릴 것이라는 것을 독자는 알고 있는가? 작은 물방울과 얼음 결정체가 만들어지는 것은, 어느 정도 먼지 입자가 중심이 되어 비와 눈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먼지가 없다면,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광경 중 하나—저녁놀—가 그리 아름답지 않은 광경이 될 것이다. 해가 지평선 아래로 넘어갈 때, 햇빛은 지구 근처에 있는 상당히 두터운 공기층을 통과해야만 된다. 빛은 그 두터운 공기 속의 먼지 입자 및 기타 물질과 부딪히면서 산란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파장이 짧은 푸른색 빛은 파장이 긴 붉은색 빛보다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거나 흡수되는 경향이 많다. 따라서 푸른색은 붉은색 만큼 우리에게 도달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주황빛, 분홍빛 및 붉은빛으로 화려하게 타오르는 저녁놀이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변에 있는 소량의 먼지로 인한 피해는 그처럼 아름다운 보상인, 경탄을 자아내는 저녁놀을 보는 대가치고는 소액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