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16 제5호 14-15면
  • 아리스토텔레스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아리스토텔레스
  • 깨어라!—2016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방대한 분야에서 지식을 갈구한 사람
  • 가톨릭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받아들이다
  • 누가 우주를 지배하는 법칙을 만들었는가?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11
  • 과학과 성서—정말로 서로 상충되는가?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05
  • 과학은 성서를 폐물이 되게 하였는가?
    깨어라!—1990
  • 목차
    깨어라!—2016
더 보기
깨어라!—2016
깨16 제5호 14-15면

역사 속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

지금으로부터 2300여 년 전에 살았던 아리스토텔레스는 과학과 철학에 지대한 업적을 남겼습니다. 그의 사상과 저술물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고 연구되었으며 끊임없는 주목을 받았습니다. 역사학 교수인 제임스 매클라클런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은 거의 2000년 동안 유럽인들의 사고를 지배했다”고 기술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일부 사상은 심지어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와 이슬람교 교리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방대한 분야에서 지식을 갈구한 사람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 천문, 생물, 윤리, 언어, 법, 논리, 자기, 형이상학, 운동, 쾌락, 시, 정치, 심리, 수사학에 대해 저술했습니다. 또한 영혼에 대해서도 썼는데 그는 영혼이 불멸이 아니라고 믿었습니다. 그의 여러 업적 가운데 현재 가장 높이 평가되는 것은 생물학과 논리학에 대한 이론입니다.

고대 그리스 학자들은 관찰과 추론과 논리에 의존해 자연계를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이 명백한 사실로 알고 있는 것을 기초로 논리적으로 추리하면 올바른 결론에 이를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그들은 여러 가지 정확한 결론을 이끌어 냈습니다. 예를 들면 그들은 우주에 기본적인 질서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관찰할 수 있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데 큰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한 많은 뛰어난 학자들은 잘못된 결론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일례로 그들은 행성과 별들이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고 생각했는데, 당시에 이 이론은 자명한 사실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논리적으로 보나 경험적으로 보나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그리스인들의 사상이 옳아 보였다”고 「서구 정신의 쇠퇴」(The Closing of the Western Mind)라는 책에서는 기술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러한 잘못된 이론은 단지 과학 분야만 아니라 역사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가톨릭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받아들이다

중세 “그리스도교” 유럽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일부 가르침이 공인된 진리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로마 가톨릭 신학자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1224년경-1274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가톨릭 신학과 접목시켰습니다. 그러면서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 역시 가톨릭 교리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또한 프로테스탄트교 지도자들도 이 이론을 받아들였습니다. 예를 들어, 칼뱅과 루터는 이 이론이 성경과 일치한다고 말했습니다.​—“성경 말씀에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부여하다” 네모 참조.

아리스토텔레스의 일부 가르침은 공인된 진리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 가운데 일부는 가톨릭 교리와 사실상 거의 구분할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고 저술가인 찰스 프리먼은 말합니다. 이러한 사실을 두고 일부 사람들은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세례를 주어” 가톨릭교화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 주의로 전향한 것”이라고 프리먼은 말합니다. 사실 어떤 면에서 교회도 아리스토텔레스 주의에 물들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유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갈릴레오는 자신이 관찰한 것을 근거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고 주장하다가, 종교 재판에 넘겨져 자신의 주장을 철회할 것을 강요받았습니다.a 아이러니하게도 아리스토텔레스는 과학 이론은 발전하면서 언제든 수정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교회가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생각을 가지지 못한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a 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본지 2003년 4월 22일호에 실린 “갈릴레오와 교회의 충돌” 기사 참조.

간략한 소개

  •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에 대한 열망이 있었으며 “우주의 가치와 경이로움에 대한 깊은 외경심이 있었다.”​—「아리스토텔레스 개관」(Aristotle—​A Very Short Introduction).

  •  그는 자연에 불멸의 “원동자” 즉 우주 바깥에 존재하고 우주를 끊임없이 움직이게 하는 선한 근원이 있다고 믿었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물학과 논리학의 기초를 세운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는 한 마케도니아 소년의 개인 교사였는데 그 소년은 후에 대제국을 건설한 알렉산더 대왕이 되었다.

지구 중심 우주관을 보여 주는 그림

고대의 많은 사람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믿었습니다

성경 말씀에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부여하다

일부 초기 신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지구 중심설을 굳게 믿었는데, 시편 104:5과 같은 성경 구절에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입니다. 그 구절은 이러합니다. “[하느님이] 땅을 기초 위에 세우셨으니, 그것이 제자리에서 영원토록 요동하지 않을 것입니다.” 여기서 필자는 지구의 물리적 위치를 설명한 것이 아닙니다. 그런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목적에 따라 지구가 영원히 존재할 것이라는 점을 시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전도서 1:4.

종종 성경에서는 과학적인 사실을 언급하는데, 그러한 말씀은 모두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예를 들어 약 3500년 전에 기록된 욥기 26:7에서는 하느님이 “땅을 공중에 떠 있게” 하셨다고 알려 줍니다. 또한 욥기 38:33에서는 천체들이 물리 법칙에 따라 움직인다는 점을 알려 줍니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