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파66 11/15 463-464면
  • 독자로부터의 질문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독자로부터의 질문
  •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66
  • 비슷한 자료
  • 가이난
    성경 통찰, 제1권
  • 아르박삿
    성경 통찰, 제2권
  • 독자로부터의 질문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04
  • 하느님의 집에 있는 무성한 올리브나무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00
더 보기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66
파66 11/15 463-464면

독자로부터의 질문

● 홍수 후에 「노아」가 방주에서 비둘기를 내어놓았는데, 그것이 『그 입에 감람 새 잎사귀』를 가지고 왔읍니다. (창세 8:10, 11) 수목이 홍수에 파괴 되지 않읍니까? 비둘기가 어디서 감람 잎을 구하였을까요?—미국의 한 독자로부터.

의심할 것 없이 홍수가 많은 초목에게 나쁜 영향을 주었을 것이지만, 감람나무가 홍수를 살아 남을 가능성이 없는 것같지는 않읍니다. 감람나무는 꽤 튼튼합니다. 그 나무에 대하여 『그의 싹 트는 힘을 멸할 수 없을 것처럼 낡은 그루터기는 새 줄기를 계속 낸다.』고 언급되어 있읍니다. (「샤프 헤르조그 신 종교 지식 사전」 4권, 404면) 또한 「희랍」 철학자이자 과학자인 「데오프라스터스」와 「로마」 박물학자 「플리니우스」가 감람나무가 홍해의 물속에서 푸른 색을 유지하면서 자라났다고 말한 점도 특기할 만합니다. 그러므로 감람나무가 홍수 몇개월 동안 물 속에서 죽지 않고 충분히 살아 남을 만합니다. 물에 잠겼던 감람나무가 물이 빠지자 도로 육지에 서게 되고 잎을 발하여 비둘기가 용이하게 잎을 딸 수 있었을 것입니다. 비둘기가 입에 싱싱한 감람나무 잎사귀를 물고 돌아온 것은 방주에 들어 있는 사람들에게는 의미가 깊었읍니다. 그것을 보고 「노아」가 땅에 물이 감한 줄 알았읍니다.—창세 8:11.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