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파68 5/15 234-235면
  • 이교에서 기원한 십자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이교에서 기원한 십자가
  •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68
  • 비슷한 자료
  • 예수께서는 실제로 십자가에서 처형되셨는가?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2011
  • 십자가는 참으로 그리스도교적인가?
    깨어라!—1985
  • 십자가는 그리스도인을 위한 것인가?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87
  •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에서 죽으셨는가?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57
더 보기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68
파68 5/15 234-235면

이교에서 기원한 십자가

당신이 이웃에 있는 교회 뾰족탑이나 교회제단 혹은 이웃에 사는 사람의 목걸이에서 보는 십자가(十字架)는 실상 이교(異教)의 상징물이다. 그리스도교가 출현하기 오래 전부터 이교도들은 십자가를 숭상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종교계와 역사학계의 많은 권위자들이 인정하고 있는 바로서, 그 점을 본 기사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가톨릭 백과사전」(1908년판), 4권 517면에 보면 다음과 같다.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두 개의 직선을 직각으로 엇갈려 놓은 십자가 표는 그리스도교가 도래하기 훨씬 전부터 동양과 서양에 있었다. 그 시작은 인간 문화의 초창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교직자인 더불류. 디. 킬렌은 그의 저서 「고대 교회」, 316면에서 그와 비슷한 언급을 하였다. “아주 오랜 옛날부터 이집트와 시리아에서는 십자가를 숭상하였다. 동양의 불교도들도 그것을 동일하게 숭배하였다. 더욱 놀라운 일은 스페인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처음 상륙하였을 때, 그 유명한 표식을 이교 아나후악 신전의 여러 우상들 사이에서 발견한 사실이다. 동시에 기원 초기에 이교도들은 그들의 성스러운 의식을 행하기 위하여 그들의 이마에 십자가 표를 하였다.”

만일 당신이 그리스도교국의 교인이라면, 교회에서는 당신에게 십자가가 이교의 상징물이라고 말해 준 적이 있는가? 만약 말해 주지 않았다면 교회는 당신에게 진리를 감춘 것이다. 오히려 교회에서는 신도들에게 이 명백한 이교의 상징물을 숭배하도록 권하여 왔다. “그러나,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십자가를 그리스도교의 상징물로 여기지 않았는가?”라고 질문할지 모른다. 그들은 그렇게 여기지 않았다. 그리스도인이라 칭하는 사람들이 십자가를 그렇게 사용한 것은 기원 3세기 중엽부터이다. 더불류. 이. 바인 편 「해설자의 신약 단어 사전」, 1권 256면에 보면 다음과 같다. “주후 3세기 중엽에 이르러, 교회는 그리스도교의 어떤 교리를 버리거나 바꾸었다. 배도한 교회 제도의 위신을 선양하려는 목적으로 교회는 이교도들이 개종하였는가 여부를 불문하고 그들을 수용하였으며, 그들의 이교 상징물과 표를 그대로 유지할 것을 허용하였다. 그리하여 십자 부분을 낮춘 가장 흔한 형태의 타우 혹은 티(T)자형을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상징으로 채택하였다.”

제3세기 초에 미누시우스 펠릭스는 이교도들에게 옥타비우스를 썼는데, 그 기록은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그 때까지 십자가를 어떻게 대하였는가에 관하여 알려 준다. 그는 이렇게 말하였다. “더욱이 우리는 십자가를 숭배하지도 않고 원하지도 않는다. 나무로 만든 신들을 성별하고 나무로 만든 십자가를 신들의 일부로 숭모하는 그대들은 . . . 그대들의 승리의 트로피는 단순한 십자가의 모양뿐만 아니라 거기에 달린 사람의 모양까지 본 땄다.” (「니케야 이전의 교부들」, 4권 191면) 참 그리스도인들은 십자가를 참 그리스도교의 상징물로 존경하지도 않았고 간주하지도 않았다.

많은 사람들은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기 때문에 교회에서 십자가를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교회의 주장이지 진리가 아니다.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는지가 불확실함을 인정하면서, 쉴레스비크-홀스타인의 복음 루터파 국교회에서 발간하는 Die Kirche der Heimat(고향의 교회)지는 1951년 8월 2일호에서 다음과 같이 논평하였다. “골고다의 십자가에 수평목(木)이 달렸는지 안 달렸는지, 혹은 단순한 기둥이었는지 티(T)자 모양이었는지 혹은 직선 기둥에 수평목(木)을 달았었는지 현재 알 길이 없다.”

여러 성서 번역판에 “십자가”라는 말이 나온다는 사실이 그리스도께서 교회에서 주장하는 형태의 형주에 달려 죽으셨다는 증거는 되지 못한다. “십자가”란 단어는 여러 가지 형태를 의미한다. 단순한 곧은 기둥을, 라틴어로는 crux simplex라고 한다. crux commissa는 “티”(T)자 형이다. crux decussata는 “엑스”(X)자 형이다. crux immissa는 “티”자와 비슷하나 수평목이 아래로 처져 있다. 그러므로 교회에서 번역한 성서에 나오는 “십자가”라는 단어를 보고 당신은 그것이 어떠한 형태의 것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교회에서 “십자가”로 번역한 희랍어는 스타우로스이다. 그러나 성서 필자들은 그 단어가 교회에서 그리스도교의 상징물로 표시하고 있는 십자가를 상징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 단어는 단순한 곧은 기둥을 의미한다. 이 점에 관해서 더불류. 이. 바인편 「해설자의 신약 단어 사전」, 1권 256면에 보면 다음과 같다. “스타우로스의 근본 의미는 곧은 장대 혹은 기둥이다. 그러한 기둥에 죄인을 못박아 처형하였던 것이다. 명사와 동사형 스타우루(기둥이나 장대에 매달다)는 교회에서 말하는 두 개의 막대를 엇갈려 놓은 십자가와는 원래 다른 것이다. 후자의 형태는 고대 갈대아 지방에서 비롯한 것이며, 담무스 신의 상징물로 사용되었다.”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에서 발행한 「콤페니언 성서」(The Companion Bible), “부록” 186면에 보면 다음과 같다. “호머는 스타우로스란 단어를 보통의 장대 혹은 기둥 혹은 보통의 목재의 의미로 사용한다. 이 단어는 그러한 의미와 어법으로 전체 희랍 고전(古典)에 사용되어 있다. 이 단어가 두 개의 재목을 십자형으로 엇갈려 놓은 것을 의미한 경우는 한 번도 없으며, 항상 한 개의 재목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우리 주님의 죽으신 방법에 관련하여 쿠술론(재목이라는 의미)이란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사도 5:30, 10:39, 13:29, 갈라디아 3:13, 베드로 전 2:24에는 나무라고 번역되어 있다. . . . 희랍어 신약 가운데 두 개의 재목을 암시하는 경우는 한번도 없다. . . . 그러므로 주님께서 어느 각도로 엇갈려 놓은 형태가 아니라 곧은 기둥에 달려 죽으셨다는 증거는 충분하다.”

그리스도교국의 교회들이 사용하는 십자가는 그리스도교와 전연 관계가 없는 것이다. 오히려 십자가는 고대 이방 종교에서 사용한 성물(聖物)이다. 진리의 하나님께서는 이교를 가증히 여기시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들을 피하라고 경고하셨다. (신명 7:16, 25, 26) 십자가는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공인된 상징물이었다.

crux ansata라고 알려진 이집트식 십자가는 그 위에 동그라미가 달려 있다. 이것은 남성과 여성 생식기를 상징하였다. 이 십자가의 여성 상징, 즉 동그라미를 힌두교도들은 yoni라고 하는데, 이 점에 관하여 오. 에이. 월 씨는 그의 저서 「성과 성 숭배」, 359면에서 이렇게 말한다. “crux ansata(손잡이가 달린 십자가)는 인도, 아시리아, 바벨론, 이집트로부터 스웨덴, 덴마아크(고대 루운족), 서부 대륙에 이르기까지 전세계적으로 사용되었다. . . . 그것은 이집트인들의 안크 즉 생명의 상징이다. 왜냐 하면 그것은 남성 타우 십자가와 여성 요니가 결합한 것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고찰한 결론으로 보아, 만약 교회에서 십자가를 달고 십자가를 예배시 사용한다면, 그 숭배는 이교 숭배라는 표시이다. 이교화한 숭배가 어떻게 참 하나님의 승인을 받을 수 있겠는가? 당신은 그러한 모든 바벨론적 숭배 방식으로부터 나와서, 창조주를 진리로 숭배하는 사람들과 교제할 필요가 있다.—계시 18:4.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