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파97 3/1 4-5면
  • 근본주의—그것은 무엇인가?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근본주의—그것은 무엇인가?
  •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97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우리 시대에 대한 반응
  • 근본주의자를 식별함
  • 확산되고 있는 근본주의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97
  • 제 20부: 19세기 이후—회복이 임박하다!
    깨어라!—1989
  • 더 나은 방법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97
  • 이것이 궁금합니다
    깨어라!—2010
더 보기
파수대—여호와의 왕국 선포 1997
파97 3/1 4-5면

근본주의—그것은 무엇인가?

근본주의는 어떻게 시작되었습니까? 지난 세기 말에,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자신들의 신앙을 성서 고등 비평과 진화론과 같은 과학 이론에 맞추어 변화시켜 나가고 있었습니다. 그 결과, 성서에 대한 사람들의 확신이 흔들렸습니다. 그에 대응하여 미국 내의 보수적인 종교 지도자들은 이른바 신앙의 근본 요소라는 것을 규정하였습니다.a 20세기 초에 그들은 이 근본 요소들에 관한 논의를 다룬 「근본 요소: 진리에 대한 증언」(The Fundamentals: A Testimony to the Truth)이라는 제목의 일련의 책자를 발행하였습니다. 이 책의 제목에서 “근본주의”라는 용어가 나오게 된 것입니다.

20세기의 첫 반세기 동안, 근본주의는 때때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1925년에 종교적 근본주의자들은 미국 테네시 주의 존 스코프스라는 교사를 법정에 제소하였는데, 이 사건은 스코프스 재판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의 죄는 무엇이었습니까? 그는 진화론을 가르쳤으며, 그것은 주(州) 법을 어기는 일이었습니다. 그 당시 일부 사람들은 근본주의가 단명할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1926년에 프로테스탄트 잡지인 「크리스천 센추리」는, 근본주의가 “허황되고 인위적”이며 “건설적인 성취나 존속에 필요한 특성이 전혀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 평가는 매우 잘못된 것이었습니다!

1970년대 이후로 근본주의는 끊임없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풀러 신학교의 미로슬라브 볼프 교수는 “근본주의는 존속하였을 뿐 아니라 번영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오늘날 “근본주의”라는 말은 프로테스탄트 운동뿐 아니라 가톨릭교, 이슬람교, 유대교, 힌두교와 같은 다른 종교의 운동과 관련해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 시대에 대한 반응

근본주의가 확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 점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 이유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우리 시대의 도덕적·종교적 불확실성에 있다고 말합니다. 예전에는 대부분의 사회에서 사람들이 전통 신앙에 근거한 도덕적 확실성이 편만한 분위기 속에서 살았습니다. 지금은 그러한 신앙이 도전을 받거나 배척당합니다. 많은 지성인들은, 하느님은 존재하지 않으며 사람이 홀로 무심한 우주 속에 존재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많은 과학자들은 인류가 사랑이 많은 창조주의 활동의 산물이 아니라 우연히 일어난 진화의 산물이라고 가르칩니다. 방임적인 정신 태도가 만연해 있습니다. 세상은 온갖 사회 계층에서 도덕관이 상실되어 중병을 앓고 있습니다.—디모데 둘째 3:4, 5, 13.

근본주의자들은 예전의 확실성을 몹시 그리워하며, 일부 근본주의자들은 지역 사회나 나라를 자기들이 올바른 도덕 및 교리의 기본 요소들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되돌리고자 애씁니다. 그들은 강제로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일종의 “올바른” 도덕 규범 및 교리적 신앙 체계에 따라 살도록 만들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다 사용합니다. 근본주의자는, 자기는 옳고 다른 사람들은 그르다고 굳게 확신합니다. 제임스 바 교수는 저서 「근본주의」(Fundamentalism)에서, 근본주의라는 말은 “흔히 적대적이고 경멸적인 용어로 간주되며, 편협함, 완고함, 반계몽주의, 분파주의를 암시”한다고 말합니다.

편협하고 완고하고 분파적이라는 소리를 듣기를 좋아할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에, 누가 근본주의자이고 누가 아닌가 하는 점에 관해서는 모든 사람의 의견이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종교적 근본주의의 특징을 이루는 특정한 면들이 있습니다.

근본주의자를 식별함

종교적 근본주의는 대개, 어떤 문화의 원래 전통이나 신앙이라고 믿어지는 것을 보존하고 세상의 세속적인 영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반대하려는 시도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근본주의자들이 현대적인 것이라면 무조건 반대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들 중 일부 사람들은 오늘날의 통신 매체를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자기들의 견해를 홍보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사회가 세속화되는 것에 대해서는 투쟁합니다.b

일부 근본주의자들은 자기들 스스로 어떤 전통적인 교리 체계나 생활 방식을 보존하기로 결심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러한 것들을 다른 사람들에게도 강요하기로, 다른 사람들이 근본주의자들의 신앙에 따르도록 사회 구조를 바꾸기로 결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톨릭 근본주의자의 경우, 자기만 낙태를 거부하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는 낙태를 불법으로 규정하는 법을 추진하도록 자기 나라의 입법자들에게 압력을 가할 것입니다. 「라 레푸블리카」지에 의하면, 폴란드에서는 낙태 반대 법안이 채택되도록 하기 위해 가톨릭 교회에서 “모든 힘과 영향력을 동원하여 ‘투쟁’을” 벌였습니다. 그렇게 하면서, 교회 권위자들은 근본주의자들과 매우 흡사하게 행동하였습니다. 미국의 ‘프로테스탄트 그리스도교 연합’도 그와 유사한 “투쟁들”을 벌입니다.

무엇보다도 근본주의자들은 깊이 뿌리 박힌 종교적 신념으로 구별됩니다. 따라서 프로테스탄트 근본주의자라면, 필시 이 땅이 문자적인 6일 만에 창조되었다는 신앙을 포함하여, 성서에 대한 문자적인 해석을 확신 있게 옹호할 것입니다. 가톨릭 근본주의자는 교황의 무류성을 조금도 의심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근본주의”라는 용어가 비이성적인 광신적 태도라는 개념을 떠오르게 하는 것도 그리고 근본주의자가 아닌 사람들이 근본주의의 확산을 보고 불안해하는 것도 이해할 만한 일입니다. 개인적으로 우리는 근본주의자들에게 동조하지 않을지 모르며 그들의 정치적인 조작과 때때로 일어나는 그들의 폭력적인 행동 때문에 섬뜩한 기분을 느낄지 모릅니다. 사실, 어떤 종교에 속한 근본주의자들이 다른 종교에 속한 근본주의자들의 행동을 보고 전율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생각 깊은 많은 사람들은 근본주의의 확산을 부추기는 일들—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도덕적 방종의 증가, 믿음의 상실, 영적인 것을 배척하는 일—에 대해 염려합니다.

근본주의는 이러한 경향에 대한 유일한 대응책입니까? 그렇지 않다면, 다른 무슨 대안이 있습니까?

[각주]

a 1895년에 제정된 소위 근본주의 5대 강령은 다음과 같다. “(1) 성경의 완전 영감 및 무류성(無謬性), (2)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3)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 (4)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대속, (5) 그리스도의 육체의 부활 및 직접적이고 물질적인 지상 재림.”—「신학 연구」(Studi di teologia).

b “세속화”란, 영적인 것이나 신성한 것에 반대되는 세속적인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속적인 것은 종교나 신앙과는 무관하다.

[5면 삽입]

1926년에 한 프로테스탄트 잡지는 근본주의를 “허황되고 인위적”이며 “건설적인 성취나 존속에 필요한 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묘사하였다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