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십니까?
“일에 바빠 자녀와 함께 놀아 주지 않아도 사랑받는 일본의 아버지들.” 이러한 표제가 몇 년 전에 「마이니치 신문」에 실렸습니다. 그 기사는, 정부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일본인 자녀의 87.8퍼센트가 장래에 자기 아버지를 돌보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하지만 그 신문의 영어판에서는 같은 내용이 다른 표제 아래 실렸습니다. “아버지와 아들: 등한시된 관계”라는 표제였습니다. 일본어판과는 달리, 그 기사는 동일한 설문 조사의 다른 면을 부각시켰습니다. 일본의 아버지들은 근무하는 날에는 하루에 겨우 36분만을 자녀와 함께 보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비해, 서독의 아버지들은 평일에 44분을 자녀와 함께 보내고 있었으며, 미국에서는 그 수치가 56분이었습니다.
자녀들과 함께 거의 시간을 보내지 않는 것은 아버지들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점점 더 많은 어머니들이 밖에 나가 일을 합니다. 예를 들어, 많은 홀어머니들은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돈벌이를 해야 합니다. 그 결과, 부모가—아버지이든 어머니이든—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의 양이 줄어듭니다.
1997년에 미국의 십대 청소년 1만 20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부모와 친밀하게 지내는 청소년들은 감정적 스트레스에 시달리거나, 자살할 생각을 하거나, 폭력에 가담하거나, 중독 물질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적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광범위한 조사에 참여한 연구원들 중 한 사람은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부모가 아이들 곁에 있어 주지 않는 한, 아이들과 친밀한 관계를 가질 수는 없다.” 자녀와 함께 시간을 보내고 그들과 의사 소통을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입니다.
의사 소통의 벌어진 틈
특히 의사 소통이 단절되기 쉬운 가정은, 부모 중 한 사람이 직장 때문에 집에서 멀리 떠나 살고 있는 가정입니다. 물론, 아버지나 어머니가 집에서 멀리 떠나 사는 가정에서만 의사 소통의 틈이 벌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부모들은 집에 살고 있지만, 아이들이 일어나기 전에 일하러 나가서 아이들이 잠든 후에야 집에 돌아옵니다. 그 결과로 자녀들을 만날 시간이 없어지자, 어떤 부모들은 그것을 벌충하려고 주말과 공휴일에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냅니다. 그들은 자녀들과 함께 “질 높은” 시간을 보낸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하지만 부족한 시간의 양이 시간의 질로 상쇄될 수 있습니까? 연구원 로렌스 스타인버그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일반적으로, 부모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은 적은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에 비해 더 잘 지낸다. 그러한 시간의 부족을 다른 것으로 대신 채우기란 매우 어려운 것 같다. 질 높은 시간에 대한 개념은 지나치게 높이 평가되어 왔다.” 한 미얀마 여자가 느낀 점도 바로 그 점입니다. 전형적인 일본 남자인 그 여자의 남편은 매일 새벽 한두 시에 직장에서 돌아옵니다. 남편이 주말에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는 하지만, 그 아내는 이렇게 말합니다. “토요일과 일요일에 집에 있다고 해서, 그 주의 다른 날들에 가족과 함께 있지 않아 벌어진 틈을 메울 수는 없는 겁니다. ··· 평일에는 모든 끼니를 거르고 나서, 토요일과 일요일에 그 모든 끼니를 다 먹을 수가 있겠어요?”
진지한 노력이 필요함
가정에서 원활한 의사 소통을 유지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닙니다. 생계를 꾸려 나가고 가족을 부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아버지나 직장 생활을 하는 어머니는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환경상 집에서 멀리 떠나 있어야 하는 많은 부모들은, 전화를 걸거나 편지를 씀으로써 정기적으로 가족과 의사 소통을 합니다. 그러나 집에 함께 있든지 떠나 있든지, 가족간에 원활한 의사 소통을 유지하려면 진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가족과 의사 소통을 하는 일을 소홀히 하는 부모는 자신의 태만함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합니다.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일이 거의 없고 식사도 함께하지 않았던 한 아버지는, 심각한 결과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그의 아들은 폭력적이 되었고, 딸은 상점에서 몰래 물건을 훔치다가 붙잡혔습니다. 어느 일요일 아침, 그 아버지가 골프를 치러 갈 준비를 하고 있을 때, 아들이 갑자기 불만을 터뜨렸습니다. “이 집에는 부모가 엄마뿐인가요?”라고 아들은 소리쳤습니다. “우리 집 일은 모두 다 엄마가 결정하시죠. 아빠는 아무 것도 안 하시고 ···” 아들이 서러워하며 한 말입니다.
이 말을 듣고, 아버지는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마침내 아버지는 우선 아침 식사부터 가족과 함께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식탁에 앉는 사람이 그와 그의 아내뿐이었습니다. 점차, 아이들이 합석하게 되면서 아침 식탁은 의사 소통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저녁 식사도 가족이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하여, 그 남자는 완전히 무너질 뻔한 가정을 살리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습니다.
하느님의 말씀에서 얻는 도움
성서는 부모들에게 시간을 내어 자녀와 의사 소통을 하라고 격려합니다. 예언자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러한 교훈을 받았습니다.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오늘날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길에 행할 때에든지 누웠을 때에든지 일어날 때에든지 이 말씀을 강론할[찌니라].” (신명 6:4-7) 그렇습니다. 부모인 우리가 하느님의 말씀을 부지런히 가르쳐서 자녀들의 정신과 마음에 넣어 주려면, 우리는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일에 솔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앞에서 언급한 미국 청소년 1만 2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1997년 설문 조사 결과, “종교가 있다고 말한 사람들 중 거의 88퍼센트에서는 ···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종교와 기도의 중요성이 보호가 되었다”는 점이 나타났습니다. 참 그리스도인들은 가정에서 베푸는 올바른 종교적 교훈이 중독성 물질 남용이나 감정적 고민, 자살, 폭력과 같은 것들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해 준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습니다.
어떤 부모들은 가족을 위한 시간을 내기가 어렵다고 느낍니다. 기꺼이 자녀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려 하지만 돈벌이를 해야만 하는 홀어머니들의 경우에는 특히 그러합니다. 어떻게 시간을 쪼개야 가족과 함께할 귀중한 시간을 낼 수 있습니까? 성서에서는 “완전한[“실용적인”] 지혜와 근신[“사고력”]을 지키”라고 촉구합니다. (잠언 3:21, 「신세」 참조) 부모들도 “사고력”을 사용하여 가족을 위한 시간을 낼 수 있습니다.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습니까?
하루 일을 마치면 기진맥진해지는 직장 생활을 하는 어머니라면, 자녀에게 함께 식사를 준비하자고 청해 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함께 보내는 그러한 시간에 서로 더 가까워질 기회를 갖게 될 것입니다. 처음에는, 자녀를 데리고 일하면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얼마 안 있어, 그렇게 일하는 것이 즐거울 뿐 아니라 시간도 절약됨을 알게 될 것입니다.
아마 당신은 주말의 일정이 할 일로 꽉 짜여 있는 아버지일지 모릅니다. 그런 일들 중 일부를 자녀와 함께 해 보면 어떻겠습니까? 함께 일하면서 자녀와 의사 소통을 할 수 있고 동시에 그들에게 가치 있는 훈련도 베풀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 하느님의 말씀을 부지런히 가르치라는 성서의 훈계는, 당신이 “집에 앉았을 때에든지 길에 행할 때에든지”, 실제로 모든 기회에 그들에게 이야기하라는 격려입니다. 자녀와 함께 일하면서 의사 소통을 하는 것은 “실용적인 지혜”를 나타내는 한 가지 방법입니다.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면, 장기적인 유익을 얻게 됩니다. “권면을 듣는[“함께 의논하는”] 자는 지혜가 있”다고 성서의 잠언은 알려 줍니다. (잠언 13:10, 「신세」 참조) 가족과 의사 소통할 시간을 냄으로써, 당신은 힘겨운 일상 생활에 대한 현명한 지도를 베풀 좋은 위치에 있게 될 것입니다. 지금 그러한 지도를 베푼다면, 앞으로 많은 시간을 절약하고 많은 마음의 고통을 덜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하는 것은 당신과 가족의 행복에 보탬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한 지도를 베풀기 위해, 하느님의 말씀인 성서에 들어 있는 풍부한 지혜의 보고를 열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 보고를 이용하여, 자녀들을 가르치고 가족의 발걸음을 인도하십시오.—시 119:105.
[4면 삽화]
부모와 친밀하게 지내는 청소년들은 감정적 스트레스에 시달릴 가능성이 더 적다
[5면 삽화]
원활한 의사 소통은 가정 생활에 많은 유익을 준다
[6면 삽화]
자녀와 함께 일하면서 의사 소통을 하고 가치 있는 훈련을 베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