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주
a 일부 학자들은 ‘여호와의 싹’이라는 표현이 예루살렘이 회복된 다음에 등장하게 될 메시아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한다. 「아람어 타르굼」에서는 이 표현을 의역하여 “여호와의 메시아[그리스도]”라고 했다. 흥미롭게도, 후에 예레미야도 메시아를 가리켜 다윗에게 일으켜질 “한 의로운 싹”이라고 말할 때에 동일한 히브리어 명사(체마흐)를 사용한다.—예레미야 23:5; 33:15.
a 일부 학자들은 ‘여호와의 싹’이라는 표현이 예루살렘이 회복된 다음에 등장하게 될 메시아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한다. 「아람어 타르굼」에서는 이 표현을 의역하여 “여호와의 메시아[그리스도]”라고 했다. 흥미롭게도, 후에 예레미야도 메시아를 가리켜 다윗에게 일으켜질 “한 의로운 싹”이라고 말할 때에 동일한 히브리어 명사(체마흐)를 사용한다.—예레미야 23:5; 3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