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피성” 안에 머물러 있음으로 살라!파수대—1995 | 11월 15일
-
-
20. 피의 보수자로부터 보호받기 위하여, 도피성의 실체 안에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20 피의 보수자로부터 보호받기 위하여, 무심결에 살인한 사람들은 도피성 안에 머물러 있어야 하였으며 도피성의 목초지 너머로 돌아다녀서도 안 되었습니다. 도피성의 실체 안에 있는 사람들은 어떠합니까? 위대한 피의 보수자에게서 해를 입지 않기 위하여, 그들은 도피성을 떠나서는 안 됩니다. 참으로, 그들은 말하자면 목초지의 경계까지 가도록 유혹하는 것들을 경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들은 사탄의 세상에 대한 사랑이 마음속에서 자라게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기도와 노력이 필요할지 모르지만, 그들의 생명이 그것에 달려 있습니다.—요한 첫째 2:15-17; 5:19.
-
-
다산과 전쟁의 여신파수대—1995 | 11월 15일
-
-
다산과 전쟁의 여신
시리아, 에블라에서 고고학 캠페인을 벌이는 기간에, 바빌론의 다산과 전쟁의 여신 이슈타르를 묘사한 유물이 발견되었습니다. 고고학자인 파울로 마티아이는 그 유물에 대하여 “길고 가느다란 지지대에 머리가 붙어 있는 ··· 이상한 신상 앞에 베일을 쓴 여사제의 모습이 새겨진, 제사 장면을 그린 원통형 인장”이라고 묘사합니다.
이것은 중요한 발견인데, 그 형상이 만들어진 시기가 기원전 18세기 초로 거슬러올라가기 때문입니다. 마티아이에 따르면, 이것은 이슈타르 숭배가 약 2000년간 지속되었다는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합니다.
이슈타르 숭배는 바빌론에서 시작하였고, 그 후 여러 세기 동안 로마 제국 전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약속의 땅에서 거짓 종교의 흔적을 모두 제거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그렇게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아스다롯(이슈타르에 해당하는 가나안의 신) 숭배가 그들에게 올가미가 되었습니다.—신명 7:2, 5; 사사 10:6.
이슈타르와 그에 해당하는 아스다롯이 더 이상 존재하지는 않지만, 그들이 상징했던 특징들—부도덕과 폭력—은 지금도 만연해 있습니다. 현대 사회가 이 다산과 전쟁의 여신들을 숭배하던 고대 문명 사회와 실제 그토록 많이 다른지 묻는 것도 당연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