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통-2 “타작”
  • 타작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타작
  • 성경 통찰, 제2권
  • 비슷한 자료
  • 타작; 타작마당
    용어 설명
  • 타작 도구
    신세계역 성경 (연구용)
  • 기돈
    성경 통찰, 제1권
  • 부리망
    성경 통찰, 제1권
더 보기
성경 통찰, 제2권
통-2 “타작”

타작

(threshing)

곡식을 줄기와 겨에서 떨어내는 작업. 이삭줍기를 한 사람이 적은 양을 타작할 경우, 곡식이 쿠민처럼 크기가 작을 경우, 위험한 때에 은밀하게 타작을 할 경우에는, 지면이나 포도 압착조에서 막대기나 도리깨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곡식을 떨었다.—판 6:11; 룻 2:17; 사 28:27.

하지만 타작은 보통 타작마당에서 하였다. 타작마당은 대개 바람이 잘 부는 다소 높은 곳에 있었으며, 직경 15미터 이내의 둥글고 평평한 지역으로, 돌이나 단단하게 다진 흙으로 되어 있었다. 개인 소유가 아닌 타작마당은 많은 경우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을 근처에 밀집되어 있었다. 타작마당에는 팔레스타인의 주요 곡물인 보리나 밀의 단을 펼쳐 놓았다(오늘날은 일반적으로 타작마당의 깊이가 30 내지 46센티미터임). 소 등의 동물이 마당을 끊임없이 돌면서 밟게 되면, 점차 짚은 부서지고 곡식은 겨에서 떨어졌다. 곡식을 밟는 동물에게는 부리망을 씌우지 않았다.—신 25:4; 호 10:11; 고첫 9:9, 10.

동물이 끄는 타작기는 작업 속도를 높여 주었고 동물의 발굽으로만 할 때보다도 철저한 타작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사 41:15; 암 1:3) 근대에 사용된 형태는 밑에 돌이나 쇠로 된 날카로운 이빨이 달린 넓고 평평한 무거운 썰매이거나, 곡식 줄기를 자르고 부수는 칼을 갖춘 무거운 원통형 바퀴를 끄는 기구이다. 그러한 썰매나 바퀴 장치를 사용하면 매번 돌 때마다 밟는 면적이 더 넓었으며, 그것을 모는 사람이 그 위에 타면 무게가 더 나가서 더 효과적으로 타작이 되었다.—사 28:28 비교.

이 작업 중에 곡식을 몇 차례 뒤집어엎어서 철저하게 타작한 후에는, 넉가래질을 하였다.—넉가래질 참조.

타작마당은 평평한 빈 공간이었기 때문에 다른 목적으로도 자주 사용되었다. 야곱을 위한 애도 의식은 요르단 강 근처 아닷의 타작마당에서 있었다. (창 50:10, 11) 여호와의 지시에 따라 다윗은 아라우나(오르난)의 타작마당을 사서 거기에 제단을 쌓고 여호와께 희생을 바쳤다. (삼둘 24:16-25; 대첫 21:15-28) 후에 이 타작마당은 솔로몬의 성전 부지가 되었다. (대둘 3:1) 여호사밧과 아합이 시리아와의 전쟁에 대해 의논할 때, 그들의 왕좌는 사마리아 성문 입구에 있는 타작마당에 놓여 있었다.—왕첫 22:10.

비유적 용법 타작마당에서 곡식 줄기가 당하는 일은, 비유적 의미로, 여호와의 적들이 패배를 당하여 산산이 깨어지는 모습을 매우 적절히 상징한다. (사 41:15; 렘 51:33; 미 4:12, 13; 합 3:12) 타작은 또한 사람들이 때때로 다른 사람들을 철저하게 쳐부수는 것을 예시한다. (왕둘 13:7) 또한 밀을 겨에서 분리하는 것은 여호와의 심판에 의해 의로운 사람이 악한 사람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묘사하는 경우도 있다. (마 3:12) 또 다른 의미로는, 오랫동안 계속되는 많은 양의 타작은 번영과 여호와의 축복을 의미한다.—레 26:5; 욜 2:24.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