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로 능숙하게 예를 사용하는 방법
1 성경에는 뛰어난 예들이 가득 들어 있습니다. 예수께서 지상에 계셨을 때 사용하신 그 많은 예들을 생각해 보십시오 사실, 예수께서 예를 사용하실 것이라는 점이 예언되어 있었습니다. (시 78:2) 예수께서 하신 산상 수훈에 들어 있는 비유적 표현을 세어 보면 50가지가 넘습니다! (마태 5:3-7:27) 예수께서는 왜 그런 표현들을 사용하셨습니까? 예는 생각을 자극하고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참으로 예는 강력한 가르치는 방법입니다
1. 가르치는 일에서 예가 강력한 도구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예수처럼 예를 사용하는 데 능숙해지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예는 흔히 농아인들의 마음을 끕니다. (마태 7:28) 사실, 수화의 시각적인 요소 때문에 예가 더 효과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예를 더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까?
2. 예를 능숙하게 다루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3 먼저 예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는 기본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인 원관념, 그와 비교되는 대상인 보조 관념,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유사점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편 18:2에는 ‘나의 하느님은 나의 반석’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이 성구에서 원관념은 여호와입니다. 그리고 보조 관념은 반석입니다. 유사점은 여호와께서 반석처럼 강하고 믿을 만하고 신뢰할 만하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요소를 파악하면 원관념을 보조 관념과 연결하고 유사점을 명확히 드러내 주는 핵심 수화 표현들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효과적으로 수화 표현들을 선택할 수 있습니까?
3. 예의 구성 요소는 무엇이며, 그 점을 아는 것이 왜 도움이 됩니까?
4 비슷한 수화 표현과 손 모양 비슷한 수화 표현과 손 모양을 사용하면 이해하기 쉬운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원관념과 보조 관념에 동일한 수화 표현을 사용하기만 해도 예의 연결 관계가 충분히 드러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태 5:15, 16, 27, 28) 뜻이 비슷한 수화 표현들을 사용해도 개념을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원관념과 보조 관념의 공통점이 특정 부면에 국한된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비슷한 손 모양을 사용하면 요점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가령, 사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어떻게 움츠러들게 될 수 있는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잠언 29:25) 여기서 원관념은 두려움에 빠지는 것입니다. 보조 관념은 거미줄이라고 할 수 있는데 파리가 거미줄에 걸리는 모습을 묘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유사점은 사람을 두려워하게 되면 덫에 걸린 느낌이 든다는 것입니다. “두려움”과 “거미줄”에 해당하는 미국 수화의 손 모양이 같기 때문에 그 둘 사이의 유사점이 드러납니다.
4. 손 모양을 잘 선택하면 효과적인 예가 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5 수화의 움직임. 수화를 할 때 같은 방향이나 방식으로 움직이면 예의 연결 관계가 잘 드러나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태복음 15:26, 27의 원관념은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입니다. 보조 관념은 강아지가 빵 부스러기를 핥아 먹는 것입니다. 성구를 보면서, 수화자가 빵 부스러기를 핥아 먹는 강아지를 표현할 때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라”라는 수화를 할 때도 같은 식으로 움직이면 유사점이 무엇인지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5. 수화의 움직임을 잘 사용하면 효과적인 예가 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6 얼굴 표정. 얼굴 표정은 비교가 되는 점을 강조해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태도라는 원관념을 다루고 있는 베드로 후서 2:12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보조 관념은 무엇입니까? 이성 없는 동물입니다. 성구를 보면서, 서로 비슷한 얼굴 표정을 사용해서 이성 없는 동물과 모욕적으로 말하는 무지한 사람들의 “알게 뭐냐”는 태도를 어떻게 전달했는지, 그렇게 해서 유사점을 어떻게 강조했는지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얼굴 표정을 비슷하게 하고 거기에 특정한 감정까지 전달하면 유사점을 드러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 예를 사용할 때 얼굴 표정이 어떻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까?
7 지금까지 살펴본 방법들 몇 가지 혹은 전부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야고보서 2:26은 앞서 설명된 방법들 몇 가지를 함께 사용하여 유사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효과적인 예가 되기 위한 방법들은 이 외에도 많습니다. 하지만 항상 수화의 문법과 특성에 맞게 그러한 방법들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고린도 후서 6:3.
7. 앞서 언급된 기술들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으며, 무엇을 잊지 말아야 합니까?
8 유의 사항: 예를 이해하기 어려워하거나 문자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을 만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한동안은 좀 더 직접적인 방식으로 가르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대조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연구생의 이해력이 자라감에 따라 예를 이해하는 능력도 향상될 것입니다.
8. 예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을 만나면 어떻게 할 수 있습니까?
9 그렇습니다. 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앞서 언급한 방법들을 사용해서 예를 계속 효과적으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한다면 여러분이 가르치는 사람들은 배운 것을 더 쉽게 이해하고 “그것을 간직”하게 될 것입니다.—누가 8:15.
9. 당신은 어떻게 하기로 결심했으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