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사 76/12 3-6면
  • 1977년 신권 학교 시간표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1977년 신권 학교 시간표
  • 우리의 왕국 봉사—1976
  • 소제목
  • 지시
  • 시간표
우리의 왕국 봉사—1976
사 76/12 3-6면

1977년 신권 학교 시간표

지시

1977년 중 모든 회중은 학교 시간표를 따라 다음과 같이 사회해야 한다.

교재: 성서(성),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유익하다」(감), 「신권 전도 학교 지침서」(지), 「우리를 행복하게 해 줄 좋은 소식」(식), 「연설 골자」(골), 「인간의 유익을 위하여 지금 성공을 거두는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유), 「파수대」(파)가 임명의 근거가 될 것이다.

교훈 연설: 1번: 15분간. 이 연설은 다만 임명된 재료의 요약 정도여서는 안된다. 이 연설은 선택된 한 제목에 관한 잘 발전된 연설이어야 하며, 가능한 한, 장로에게 임명하되, 필요하다면 자격을 갖춘 봉사의 종에게 임명할 것이다. 재료를 단지 피상적으로만 취급하지 말고 회중에 참으로 교훈적이고 도움이 되게 연설할 것이다. 「감」 책으로부터 연설을 준비할 때, 연사는 「보조서」에 있는 그 동일한 점의 내용에 관하여 읽어봄으로써 그가 취급하는 내용이 뒤떨어진 것이 되지 않게 할 것이다.

구두 복습: 5분간. 이 복습은 1번 연설을 한 직후에 행해지며, 그 연설을 한 동일한 형제가 복습할 것이다. 이 복습은 다음 주일에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교훈 연설이 행해지는 동일한 날 저녁에 행해질 것이다. 질문은 연설로 다룬 주요점들을 청중이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2번 연설: 6분간. 이 연설은 임명된 범위의 성서 낭독이 될 것이다. 낭독 임명은 학생이 서론과 결론에서, 그리고 심지어 적절한 중간 지점에서 내용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짧다. 역사적 배경, 예언적이거나 교리적인 중요점, 원칙들의 적용 및 성귀에 나타난 지혜에 대한 감사의 표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임명된 모든 귀절들이 실제적으로 낭독되도록 연설을 짤 것이다. 주어진 시간을 충분히 이용할 것이다. 내용을 회중에 하는 연설로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어떤 소년이 연단 위에 앉아서 자기 아버지나 혹은 다른 자격을 갖춘 연로한 형제에게 낭독해 주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아버지나 다른 연로한 형제는 질문을 사용하여 내용의 가치에 관한 해설을 그 소년으로부터 이끌어 내거나, 혹은 소년의 낭독을 발전시킬 목적으로 그를 돕는 제안들을 할 수 있다.

3번 및 4번 연설: 각 6분간. 가능한 한, 언제든지 이 연설들은 자매들에게 임명될 것이다. 이 연설을 할 때, 학생은 앉거나 서서 연설할 수 있다. 성서와 노우트를 주로 사용하지만, 적절하다면, 학생들은 임명된 재료로부터의 발췌문이나 인용문을 낭독할 수 있다. 보조자 한 사람이 학교 감독자에 의하여 계획될 것이지만, 부가적인 보조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장면들은 가정, 야외 봉사, 회중 및 그 외의 다른 곳에서 일어나는 상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종종, 연설은 단순히 가족 성원들 간이나 혹은 다른 사람들과의 교육적인 대화가 될 수도 있다. 연설하는 자매가 대화를 시작케 하여 장면을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보조자(들)이 그렇게 하게 할 수도 있다. 중요성은 장면 자체보다 재료 자체에 더 두어야 한다.

5번 연설: 6분간. 이 연설은 어느 정도 경험이 있는 형제에게 임명하는 것이 더 좋다. 이 연설은 전체 청중에게 하는 연설이어야 한다. 노우트를 가지고 연설하면서 연사는 적절한 때에는, 임명된 재료로부터 인용문이나 요점잡힌 발췌문을 낭독할 수 있다. 보통으로 한 왕국회관에 있는 청중을 머리에 간직하고 연사가 그의 연설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래서 그 연설을 실제로 듣게 될 사람들에게 참으로 교훈적이고 유익한 것이 되게 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내용 자체가 실용적이며 적절한 어떤 다른 장면에 특별히 잘 적용된다면, 연사는 그에 따라 그의 연설을 발전시킬 수 있다.

연설을 준비함: 내용 자체로 보아, 할 수 있다면, 연설들은 잘 발전시킨 하나의 주제를 따라 연설해야 한다. 주어진 시간 내에 내용을 가장 잘 취급할 수 있게 하는 주제를 하나 선택하라. 연설 충고 용지에서 다음에 고려될 점을 머리에 간직하고 모든 연설들을 준비하라. 장면을 선택할 때, 적절하다면, 임명된 내용을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그러한 장면을 선택하도록 노력하라.

충고: 각 학생 연사에게는 연설 충고 용지 하단에 명시된 점진적인 충고의 계획에 따라 명확한 충고를 할 것이다. 연사들이 다른 중요한 점들을 깊이 인식케 하는 해설을, 충고자가 말하거나 혹은 복습 질문들로서 청중으로부터 이끌어 내거나 하면 그러한 해설은 모두의 주의를 주로 제공된 성경적 내용에 계속 집중하게 도울 수 있다. 각 학생 연사를 충고하는 데 2분 이상을 사용하지 않도록 조심하라.

시간 조절: 어떤 연설도 시간을 초과하지 말 것이며 충고자도 초과해서는 안된다. 2번부터 5번 연설까지는 시간이 다 될 때 필요하다면 중단시킬 것이다.

필기 복습: 주기적으로 필기 복습을 하게 될 것이다. 준비할 때, 주로 감, 지, 식, 유, 파의 내용을 복습하고 개인적인 성서 낭독 임명을 마치라. 이 30분간의 복습 중에는 성서만이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시간에는 질문과 대답 토론에 바쳐질 것이다. 각 학생은 자신의 시험지를 채점할 것이다. 대답을 낭독할 때, 학교 감독자는 더 어려운 질문들에 집중하고 정확한 지식을 얻는 문제를 강조하고 청중으로 교재를 찾아 보아서 어디에서 대답을 찾을 수 있는지 알려 줄 수 있다. 만일 어떤 지방 환경상의 이유로 필기 복습을 시간표에 나타난 것보다 한 주일 늦게 할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할 수 있다.

크고 작은 회중들: 50명이나 그 이상의 학생들이 등록한 회중에서는 학생들의 다른 집단을 마련할 것이며 가능하다면 다른 장로 앞에서 계획된 연설을 하게 할 것이다. 학생들이 돌아가며 여러 장소에서 연설하게 마련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자매들은 어느 연설이든지 맡아 3번과 4번 연설을 위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다른 한 자매에게 연설할 것이다.

결석: 계획된 학생이 참석하지 않으면, 한 자진자가 임명을 맡을 것이다. 그는 급히 통지를 받아서 짧은 시간밖에 없었지만, 적용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점을 적용시킬 것이다. 혹은 학교 감독자가 적절히 청중 참여로써 재료를 다룰 수도 있다.

시간표

1월 2일 성서 낭독: 데살로니가 후 1-3

1번: 감 성서 낱권제53권 232-233면.

2번: 데살로니가 후 3:1-18.

3번: 식, 5-8면. “오늘날 좋은 소식을 어디에서 발견할 수 있는가?”

4번: 골, 2ㅁ. “그리스도인들은 누구와만 결혼해야 하는가?”

5번: 유, 7면 1항-12면 14항. “영원한 목적을 가지신 하나님 여호와”

1월 9일 성서 낭독: 디모데 전 1-6

1번: 감 성서 낱권제54권 234-237면.

2번: 디모데 전 6:1-21.

3번: 식, 9-11면 7항. “성서는 언제 그리고 누구에 의하여 기록되었는가?”

4번: 골, 3ㄴ. “인간들이 구원을 위하여 과학에 의존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5번: 유, 12면 15항-15면 21항. “하나님의 이름은 그분이 영원한 목적의 소유자이심을 어떻게 알려 주는가?”

1월 16일 성서 낭독: 디모데 후 1-4

1번: 감 성서 낱권제55권 237-239면.

2번: 디모데 후 3:1-17.

3번: 식, 12, 13면. “불완전한 사람들이 어떻게 하나님의 완전한 소식을 써 낼 수 있었는가?”

4번: 골, 5ㄷ. “‘거듭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5번: 유, 16면 22항-23면 40항. “인류의 유익을 위하여 역사를 이루시는 분을 숭배하라”

1월 23일 성서 낭독: 디도 1-3; 빌레몬 1-25

1번: 감 성서 낱권제56, 57권 239-243면.

2번: 디도 2:1-15.

3번: 식, 13-16면. “왜 우리는 성서 기록이 정확함을 확신할 수 있는가?”

4번: 골, 6ㄱ. “그리스도의 재림 혹은 임재가 눈에 보이지 않을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5번: 유, 24-28면. “하나님의 영적 피조물들이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는가?”

1월 30일 성서 낭독: 히브리 1-8

1번: 감 성서 낱권제58권 243-244면, 247-248면 1-9, 23-27항.

2번: 히브리 5:12-6:20.

3번: 식, 16, 17면. “모세 오경이란 무엇인가?”

4번: 골, 7ㄷ. “기도가 들으신 바 되기 위한 하나님의 요구 조건은 무엇인가?”

5번: 유, 29-37면. “인간은 영원한 생명을 즐기도록 창조되었다.”

2월 6일 성서 낭독: 히브리 9-13

1번: 감 성서 낱권제58권 244-247면 10-22항.

2번: 히브리 12:1-17.

3번: 식, 17-20면. “어떠한 종류의 책들이 히브리어 성경을 구성하는가?”

4번: 골, 8ㄹ. “땅은 왜 영원히 존재할 것인가?”

5번: 유, 37-42면 17항. “하나님께서 인간 남녀를 창조하신 이유”

2월 13일 성서 낭독: 야고보 1-5

1번: 감 성서 낱권제59권 248-251면.

2번: 야고보 4:1-17.

3번: 식, 20-24면. “그리스도인 희랍어 성경의 뛰어난 점들은 어떤 것들인가?”

4번: 골, 9ㄱ. “그리스도의 희생은 어떠한 유익이 있는가?”

5번: 유, 42면 18항-44면. “하나님의 안식일—인류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

2월 20일 필기 복습. 데살로니가 후 1-야고보 5장 전체.

2월 27일 성서 낭독: 베드로 전 1-5

1번: 감 성서 낱권제60권 251-253면.

2번: 베드로 전 3:1-22.

3번: 식, 24-29면. “성서가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어떻게 돕는가?”

4번: 골, 10ㄴ. “누가 이 세상의 보이지 않는 통치자인가?”

5번: 유, 44-49면. “어떻게 인간들이 죄를 짓게 되었는가?”

3월 6일 성서 낭독: 베드로 후 1-3.

1번: 감 성서 낱권제61권 254-256면.

2번: 베드로 후 3:1-18.

3번: 식, 29-32면. “우리가 참다운 이웃 사랑을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가?”

4번: 골, 13ㄱ. “‘세상 끝’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5번: 유, 50-54면. “첫 인간의 범죄는 하나님의 목적을 실패케 하였는가?”

3월 13일 성서 낭독: 요한 1서 1-5; 요한 2서 1-13, 요한 3서 1-14; 유다서 1-25

1번: 감 성서 낱권제62권 256-258면.

2번: 요한 1서 5:1-21.

3번: 감 성서 낱권제63권 259-260면. “서로 사랑하며 배교를 배척하자”

4번: 감 성서 낱권제64권 260-261면. “손대접하기를 즐겨하고 선한 일을 계속하자.”

5번: 감 성서 낱권제65권 261-263면. “악한 일에 대한 경고에 귀를 기울이고 하나님의 사랑에 머물라.”

3월 20일 성서 낭독: 계시록 1-5

1번: 감 성서 낱권제66권 263-264면 1-7항.

2번: 계시 3:1-22.

3번: 식, 32-36면. “좋은 소식이 어떻게 보존되었는가?”

4번: 골, 57ㄷ. “천적 생명을 위한 하나님의 요구 조건은 무엇인가?”

5번: 식, 36-39면. “성서 번역에 대한 반대가 어떻게 실패하였는가?”

3월 27일 성서 낭독: 계시록 6-11

1번: 감 성서 낱권제66권 265-266면 8-16항.

2번: 계시 7:1-17.

3번: 식, 39-42면. “하나님의 성품들은 어떠하며 왜 우리는 그분께 의존해야 하는가?”

4번: 골, 12ㄱ. “주의 만찬은 무엇을 기념하는 것이며 누가 취할 수 있는가?”

5번: 유, 54-58면. “낙원 밖에서 하나님과 동행한 사람들”

4월 3일 성서 낭독: 계시록 12-17

1번: 감 성서 낱권제66권 266-268면 17-28항.

2번: 계시 12:1-17.

3번: 식, 43, 44면. “하나님의 창조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4번: 골, 14ㄴ. “신세계역은 우리로 성서 이해를 어떻게 돕는가?”

5번: 유, 59-67면. “악한 세상을 살아남은 의의 전파자들”

4월 10일 성서 낭독: 계시록 18-22

1번: 감 성서 낱권제66권 268-269면 29-35항.

2번: 계시 21:1-14, 22-27.

3번: 식, 44-47면. “성서는 하나님의 이름에 관하여 무엇을 알려 주는가?”

4번: 골, 15ㄷ. “현대적 신앙 요법에 관한 성서적 견해는 무엇인가?”

5번: 유, 68-70면 6항. “메시야로 인도할 계통이 노아의 자손 중 누구로부터 나올 것인가?”

4월 17일 필기복습. 베드로 전 1-계시록 22장 전체.

4월 24일 성서 낭독: 창세기 1-4

1번: 감 성서 낱권제1권 13-14면 1-9항.

2번: 창세기 2:7-9, 18-25.

3번: 식, 47, 48면. “창조물이 어떻게 여호와의 지혜를 나타내는가?”

4번: 골, 16ㄱ. “성서는 죽은 자를 위하여 무슨 소망을 알려 주는가?”

5번: 유, 70면 7항-73면. “바벨론의 설립과 아브라함”

5월 1일 성서 낭독: 창세기 5-9

1번: 감 성서 낱권제1권 14-15면 10-17항.

2번: 창세기 6:9-22.

3번: 식, 49면. “무엇이 창조의 날들의 길이를 알려주는가?”

4번: 골, 18ㄴ. “예수께서는 과거나 미래에 항상 그분의 아버지께 복종할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5번: 유, 74-76면 21항. “멜기세덱과 아브라함.”

5월 8일 성서 낭독: 창세기 10-14

1번: 감 성서 낱권제1권 15-18면 18-32항.

2번: 창세기 13:5-18.

3번: 식, 50-53면. “하나님께서는 어떠한 단계로 지구를 생물들이 살도록 준비시키셨는가?”

4번: 골, 19ㄴ. “하나님께서는 누구에게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시는가?”

5번: 유, 76면 22항-78면. “하나님의 벗, 아브라함.”

5월 15일 성서 낭독: 창세기 15-18

1번: 감 성서 낱권제1권 18-19면 33-38항.

2번: 창세기 17:1-12, 15-17.

3번: 식, 54-58면. “하나님께서는 어떤 순서로 지상 생물들을 창조하셨는가?”

4번: 골, 22ㄴ. “성서를 이해하는 데, 왜 우리는 도움을 필요로 하는가?”

5번: 유, 78-80면. “하나님이 선택하신 야곱.”

5월 22일 성서 낭독: 창세기 19-22

1번: 지 149-153면 제 30과

2번: 창세기 22:1, 2, 6-18.

3번: 식, 58-61면. “우리는 우리 창조주께 감사해야 할 어떠한 이유들을 가지고 있는가?”

4번: 골, 24ㄷ. “오늘날 사람들은 무슨 근거로 심판받고 있는가?”

5번: 유, 81-87면. “하나님의 왕족의 선택이 어떻게 예언되었는가?”

5월 29일 성서 낭독: 창세기 23-26

1번: 지 153-158면 제 31과

2번: 창세기 24:1-10, 15-19.

3번: 식, 61-64면. “무엇이 인류로 그들의 행복을 상실하게 하였는가?”

4번: 골, 26ㄱ. “아마겟돈은 무엇을 성취할 것인가?”

5번: 유, 87-90면 9항. “400년간의 고통의 기간이 어떻게 끝나게 되었는가?”

6월 5일 성서 낭독: 창세기 27-30

1번: 지 158-163면 제 32과

2번: 창세기 28:2, 10-22.

3번: 식, 64-66면. “고의적인 죄와 유전받은 죄는 어떻게 다른가?”

4번: 골, 27ㄹ. “여호와께서는 왜 악을 허락해 오셨는가?”

5번: 유, 90면 10항-93면. “여호와의 구출받은 이스라엘 민족”

6월 12일 성서 낭독: 창세기 31-34.

1번: 지 163-168면 제 33과

2번: 창세기 34:1-7, 25-31.

3번: 식, 67-69면. “하나님께서 노아 시대의 악한 세상을 어떻게 끝나게 하셨는가?”

4번: 골, 28ㄱ. “그리스도인들이 안식일을 지키도록 요구받고 있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5번: 유, 93면 19항-96면. “어떤 절차로 한 민족이 여호와와 언약을 맺게 되었는가?”

6월 19일 필기 복습. 창세기 1-34장 전체.

6월 26일 성서 낭독: 창세기 35-38

1번: 지 168-172면 제 34과

2번: 창세기 35:2-15.

3번: 식, 70-78면.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4번: 골, 29ㄷ.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존재를 어떻게 증거하시는가?”

5번: 유, 97-101면. “율법 언약은 더 좋은 것을 어떻게 예시하는가?”

7월 3일 성서 낭독: 창세기 39-42

1번: 지 172-175면 제 35과

2번: 창세기 39:7-13, 17-23.

3번: 식, 78면 1, 2항. “하나님께서는 왜 피조물들로 고초를 당하게 하시지 않는가?”

4번: 골, 29ㄹ. “여호와의 기본적인 성품들은 어떠한 것들인가?”

5번: 유, 102-110면. “다윗은 언제 어떻게 이스라엘 전체를 다스리는 왕이 되었는가?”

7월 10일 성서 낭독: 창세기 43-46

1번: 지 175-181면 제 36과

2번: 창세기 44:18-34.

3번: 식, 79-81면. “지옥의 고초 교리의 기원은 어디에서 시작하였는가?”

4번: 골, 30ㄱ. “여호와의 증인의 기원은 어떻게 시작하였는가?”

5번: 유, 110-113면. “일곱째 창조의 ‘날’의 ‘아침’에는 어떠한 일들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는가?”

7월 17일 성서 낭독: 창세기 47-50

1번: 지 181-187면 제 37과

2번: 창세기 50:1-3, 12-21.

3번: 식, 81-87면. “고초에 관한 성서의 입장은 무엇인가?”

4번: 골, 31ㄱ. “이방인의 때가 언제 끝났는가?”

5번: 유, 114-116면 20항. “메시야의 기적적 출생.”

7월 24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1-4

1번: 감 성서 낱권제2권 19-20면 1-8항.

2번: 출애굽기 3:6-10, 13-17.

3번: 식, 87, 88면. “왜 우리는 불행이 언제까지나 계속되지 않을 것을 확신할 수 있는가?”

4번: 골, 32ㄱ. “여호와의 증인들은 왜 연합 신앙을 실천하지 않는가?”

5번: 유, 117-121면 34항. “메시야의 기적적 출생의 목격 증인들”

7월 31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5-8

1번: 감 성서 낱권제2권 20-22면 9-18항.

2번: 출애굽기 6:1-13

3번: 식, 88-90면. “에덴 동산에서 어떠한 쟁점이 제기되었었는가?”

4번: 골, 21ㅁ. “어떻게 우리는 공중의 유익을 위하여 최상의 봉사를 할 수 있는가?”

5번: 유, 121-123면. “메시야의 선구자는 무슨 일을 하였는가?”

8월 7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9-12

1번: 감 성서 낱권제2권 22-24면 19-25항.

2번: 출애굽기 12:1-14

3번: 식, 91-96면. “탁월하게 성실을 입증한 사람들로 어떤 사람들이 있는가?”

4번: 골, 33ㄱ. “하나님의 성령 혹은 활동력이란 무엇인가?”

5번: 유, 124-128면. “예수께서 예언된 메시야이셨음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가?”

8월 14일 필기복습. 창세기 35-출애굽기 12장 전체.

8월 21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13-16

1번: 감 성서 낱권제2권 24-25면 26-31항.

2번: 출애굽기 15:1-18

3번: 식, 96-100면. “하나님께서는 왜 그의 아들을 지상에 보내셨는가?”

4번: 골, 34L. “영혼과 영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5번: 유, 128면 15항-131면. “메시야의 죽음과 영화”

8월 28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17-20.

1번: 지 188-192면 제 38과

2번: 출애굽기 20:1-17.

3번: 식, 101, 102면. “그리스도의 희생으로부터 누가 유익을 얻으며, 그들의 운명은 무엇인가?”

4번: 골, 35ㄹ.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5번: 유, 132-135면. “새 언약의 신비가 어떻게 밝혀졌는가?”

9월 4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21-24

1번: 지 5-9면 제 1과

2번: 출애굽기 24:3-18.

3번: 식, 103, 104면. “어떤 종류의 숭배를 하나님께서 승인하시는가?”

4번: 골, 37ㄱ. “숭배하는 데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왜 하나님을 불쾌하게 하는가?”

5번: 유, 136-141면. “아브라함의 씨에 관한 신비가 어떻게 밝혀졌는가?”

9월 11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25-28

1번: 지 9-13면 제 2과

2번: 출애굽기 27:1-19.

3번: 식, 105-107면. “어떤 종류의 숭배를 하나님께서는 승인하시지 않는가?”

4번: 골, 39ㄷ. “성경에서, 불은 무엇의 상징인가?”

5번: 유, 142-144면. “하나님의 영원한 목적의 반대자들은 실패한다.”

9월 18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29-32

1번: 지 14-19면 제 3과

2번: 출애굽기 32:1-4, 7-14.

3번: 식, 107-109면. “참 숭배자들은 어떤 활동에 참여할 것인가?”

4번: 골, 40ㄱ. “왜 인종적 편견은 변명의 구실이 되지 못하는가?”

5번: 유, 145-148면. “이방인의 때가 끝나고 하나님의 왕국이 설립된 때를 식별함.”

9월 25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33-36

1번: 지 19-24면 제 4과

2번: 출애굽기 34:1-10.

3번: 식, 110, 111면. “미신은 어떻게 불행으로 인도하는가?”

4번: 골, 42ㄱ.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어떠한 의무가 부과되어 있는가?”

5번: 유, 149, 150면. “이방인의 때가 끝났을 때, 하늘에서는 어떠한 일이 발생하였었는가?”

10월 2일 성서 낭독: 출애굽기 37-40

1번: 지 24-29면 제 5과

2번: 출애굽기 40:1-16.

3번: 식, 112-116면. “영매술로부터 우리 자신을 어떻게 보호할 수 있는가?”

4번: 골, 45ㄴ. “참 종교를 어떻게 식별해 낼 수 있는가?”

5번: 유, 150면 26항-153면 33항. “‘큰 무리’를 식별함”

10월 9일 성서 낭독: 레위기 1-4

1번: 감 성서 낱권제3권 25-27면 1-10항.

2번: 레위기 2:1-13.

3번: 식, 117-120면. “하나님의 왕국을 예언한 예언들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4번: 골, 45ㅅ. “거짓 교리를 정죄하는 것은 왜 나쁜 일이 아닌가?”

5번: 유, 153면 34항-156면. “큰 환난을 생존할 큰 무리”

10월 16일 필기 복습. 출애굽기 13-레위기 4장 전체.

10월 23일 성서 낭독: 레위기 5-8

1번: 감 성서 낱권제3권 27-28면 11-27항.

2번: 레위기 8:1-13

3번: 식, 121-125면. “무엇이 지구의 새로운 왕이 보이지 않게 임재하여 계심을 알려 주는가?”

4번: 골, 46ㅂ. “성령을 거스르는 죄란 무엇인가?”

5번: 유, 156면 1항-160면. “여호와께서 어떻게 일곱째 창조의 날을 거룩하게 하시는가?”

10월 30일 성서 낭독: 레위기 9-12

1번: 감 성서 낱권제3권 28-30면 28-39항.

2번: 레위기 10:1-11

3번: 식, 125-128면. “오늘날 하나님의 백성들은 어떠한 낙원을 즐기는가?”

4번: 골, 47ㄴ. “죽은 자의 상태는 어떠한가?”

5번: 파 76년 23, 24면.

11월 6일 성서 낭독: 레위기 13-16

1번: 지 29-33면 제 6과

2번: 레위기 16:3-16.

3번: 식, 128면 8항-132면. “순종적인 인류를 위하여 어떠한 낙원이 기다리고 있는가?”

4번: 골, 50ㄱ. “성서는 어떻게 입증된 과학과 일치하는가?”

5번: 파 75년 531-534면.

11월 13일 성서 낭독: 레위기 17-20

1번: 지 33-38면 제 7과

2번: 레위기 17:3-14.

3번: 식, 133-137면. “결혼에 관한 하나님의 목적은 무엇인가?”

4번: 골, 51ㅁ. “하나님의 왕국은 어떤 종류의 정부인가?”

5번: 파 75년 558, 559면.

11월 20일 성서 낭독: 레위기 21-24

1번: 지 39-41면 제 8과 1항-11항.

2번: 레위기 24:10-23.

3번: 식, 138-144면. “어떻게 자녀들로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게 할 수 있는가?”

4번: 골, 52ㄱ. “성서적 훈련은 청소년 범죄를 어떻게 방지하는가?”

5번: 파 75년 547, 548면.

11월 27일 성서 낭독: 레위기 25-27

1번: 지 41-43면 제 8과 12-18항.

2번: 레위기 25:1-13.

3번: 식, 145-147면.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가 행복을 얻도록 어떻게 돕는가?”

4번: 골, 54ㄱ. “그리스도인들은 왜 수혈하지 않는가?”

5번: 파 76년 149-151면.

12월 4일 성서 낭독: 민수기 1-4

1번: 감 성서 낱권제4권 30-31면 1-10항.

2번: 민수기 3:39-51.

3번: 식, 148, 149면. “어떠한 것들로부터 우리는 반드시 멀리 해야 하는가?”

4번: 골, 55ㄱ. “그리스도인들이 박해를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5번: 파 76년 51, 52면.

12월 11일 성서 낭독: 민수기 5-8

1번: 감 성서 낱권제4권 31-32면 11-16항.

2번: 민수기 6:1-8, 21-27.

3번: 식, 149면 12항-152면. “사랑은 우리로 무엇을 하도록 움직이는가?”

4번: 골, 58ㄱ. “성서 해석은 다만 누구에게만 속해 있으며, 그 이유는?”

5번: 파 76년 53-55면.

12월 18일 성서 낭독: 민수기 9-12

1번: 감 성서 낱권제4권 32-34면 17-31항.

2번: 민수기 12:1-15.

3번: 식, 153-159면. “어떠한 전망들이 하나님의 백성들로 즐거워할 근거가 되게 하는가?”

4번: 골, 59ㄱ. “성서적 도덕 표준은 어떠한 것들인가?”

5번: 파 76년 56-59면.

12월 25일 필기복습. 레위기 5-민수기 12장 전체.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8-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