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사 89/4 5-6면
  • 신권 전도 학교 복습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신권 전도 학교 복습
  • 우리의 왕국 봉사—1989
우리의 왕국 봉사—1989
사 89/4 5-6면

신권 전도 학교 복습

1989년 1월 2일 주부터 4월 17일 주까지에 걸쳐 신권 전도 학교 임명에서 다룬 내용을, 책을 덮고 하는 복습. 답을 쓰기 위하여 별지를 사용해서 할당된 시간 내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써 넣을 것이다.

[주의: 필기 복습중에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하여 성서만을 사용할 수 있다. 질문 끝에 표시된 참조문들은 개인적 연구 조사를 돕기 위한 것이다. 「파수대」 참조문 중에는 면과 항 수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의 각 문장들이 맞는지 틀리는지 대답하라

1. 예레미야 애가의 세째 시는 하나님의 자비로 말미암은 시온의 희망과, 여호와로부터 오는 구원을 기다림이 합당함을 강조한다. [「감」 131면 10항]

2. 에스겔의 소식을 듣는 사람들이 그의 예언의 소식을 청종하든 않든, 여호와께서는 에스겔을 예언자로 섬기도록 임명하셨다. [「감」 134면 9항]

3. 이마에 있는 표는 진리를 명석하게 이해함을 말한다. (에스겔 9:4) [「파」88 9/15 14면 18항]

4. 에스겔이 아내의 죽음에 대해 슬픈 기색을 보이지 말라는 명령을 받은 것은 예루살렘이 멸망될 때 유대인들이 어안이 벙벙할 정도로 충격을 받을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서였다. [「파」88 9/15 21면 24항]

5. 영적 낙원에 거하는 일은 우리 자신의 행위에 달려 있지 않다. [「파」88 9/15 24면 10, 11항]

6. 성서의 고등 비평가들은 「다니엘」서의 역사성을 의문시해 왔지만, 다른 성경의 증언은 그들의 주장을 완전히 무너뜨린다. [「파」88 12/1 11면 5항]

7. 에스겔이 환상에서 본 성전은 순결한 숭배가 곡의 공격을 생존할 것임을 증명해 준다. (에스겔 40-44장)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9/15 26면 17항.]

8. “벧아웬” (“해로운 집”을 의미함)이라는 말은 “하나님의 집”을 의미하는 벧엘에 대해 경멸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호세아 10:5)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3/1.]

9. “바산 암소들”은 사마리아 거민이 영적으로 양식을 잘 공급받은 상태를 가리킨 말이다. (아모스 4:1)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4/1.]

10. ‘이가 한가함[깨끗함, 신세 참조]’이라는 표현은 먹을 것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가 깨끗해진 상태 곧 기근의 때를 가리킨다. (아모스 4:6) [「파」89 4/1]

다음 질문들에 대답하라

11. 마곡의 곡은 누구인가? (에스겔 38:2)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9/15 25면 14항.]

12. 기원전 617년부터 기원전 607년까지의, 예루살렘의 멸망으로 끝난, 위태로운 시기에 유명했던 세 예언자는 누구인가? [「감」 133면 2항]

13. 환상에서 본 성전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에스겔 47:1-11)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9/15 27면 20항.]

14. 에스겔 47:12은 순종하는 인류가 신세계에서 무엇을 누릴 것임을 알려 주는가?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9/15 27면 21항.]

15. 다니엘이 느부갓네살의 꿈을 해석했을 때, 왕은 무슨 결론에 이르렀는가? (다니엘 2:26, 28, 47)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12/1 12면 9항.]

16. 예수께서는 이미 “서 있는” 분이시면서도, 어떻게 ‘일어서’시는가? (다니엘 12:1, 신세 참조)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7 7/1 19면 15항.]

17. 고멜이 낳은 자녀들의 이름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대하시는 방법에 관하여 무엇을 알려 주는가? (호세아 1:6, 9) [「감」 144면 9항]

다음의 각 문장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단어나 구를 써라

18. 예언자 ․․․․․․․은 예언자 이사야와 미가보다 앞서 일했던 것으로 보인다. [「감」 146면 3항]

19. 성서 ․․․․․․․서에는 느부갓네살에 의하여 예루살렘이 포위, 함락, 파괴된 데 대한 복받치는 슬픔이 표현되어 있다. [「감」 131면 7항]

20. 에스겔 17장에 나오는 수수께끼로, 여호와께서는 예루살렘이 ․․․․․․․에 도움을 청하는 일의 무익함을 설명하셨다. [「감」 135면 17항]

21. 다니엘은 벽에 손으로 쓴 글씨를 해석하면서 ․․․․․․․에게 믿음과 담대함의 훌륭한 본을 세웠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12/1 20면 19항.]

22. 에스겔은 자신이 본 마지막 환상에서, 열 두개의 문이 있는 거룩한 성읍을 묘사했는데, 그 성읍의 영광스러운 이름은 ․․․․․․․였다. [「파」88 9/15 27면 23항]

23. “여호사밧 골짜기”는 “여호와의 날”에 ․․․․․․․를 상징한다. (요엘 3:2, 14)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3/15.]

24. ․․․․․․․년에 다니엘은 사로잡힌 유대인들과 함께 유배 생활을 하게 되었다. [「감」 139면 8항]

25. 한 천사는 자신이 다니엘에게 오는 것을 ‘바사 군(君)’이 막았으나 ․․․․․․․이 자신을 도왔다고 설명했다. (다니엘 10:13) [「감」 141면 17항]

다음의 각 문장 가운데서 정확한 대답을 선택하라

26. 「호세아」서에서, “이스라엘”과 번갈아 사용된 이름은 (에브라임; 유다; 야곱)이었다. [「감」 144면 8항]

27. “언약”은 (율법 언약; 새 언약; 아브라함과의 언약)을 가리킨다. (다니엘 9:27) [주간 성서 읽기; 참조 「왕」 54면 23항.]

28.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사람들은 (침례받을 때; 여호와의 이름을 정기적으로 선포하는 사람이 될 때; 하나님께서 나라들에 대한 심판을 집행하실 때) “구원을 얻”을 것이다. (요엘 2:32)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3/15.]

29. 여호와께서는 (회개한 앗수르인들을 벌하는 일에 대해 생각을 바꾸셨다; 그들이 엄중한 심판의 소식을 받지 않으면 안 되었음을 유감스럽게 생각하셨다; 창조물이 매우 악하게 된 것을 한탄하셨다)는 점에서 “뜻을 돌이키”셨다. (요나 3:10)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4/15.]

30. 성서는 벨사살을 바벨론의 마지막 왕으로 언급하지만, 그는 사실상 (느부갓네살; 에윌므로닥; 나보니더스)의 공동 섭정자였다. [「감」 140면 12항]

다음 성구들을 아래 열거된 문장과 맞추라

에스겔 47:13-48:34; 다니엘 3:16-18; 다니엘 7:13, 14; 호세아 5:1; 호세아 13:14

31. 이스라엘의 배교한 제사장과 왕들은 거짓 숭배에 가담하도록 백성을 유혹함으로써 백성에게 올무와 그물이 되었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3/1.]

32. 성경적 선례와 일치하게 오늘날의 여호와의 종은 국가 상징물 앞에서 절하지 않는다. [주간 성서 읽기; 비교 「파」88 12/1 19면 17항.]

33. 여호와께서는 불순종한 이스라엘이 자비를 받기에 합당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당시 그들을 용서하여 음부[스올, 신세]의 권세에서 구출하지 않으셨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9 3/1.]

34. 하나님께서는 낙원에서 사람들을 원하시는 곳에 배치하실 것이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파」88 9/15 27면 22항.]

35. 이 예언은 여호와의 기름부음받은 왕, 예수 그리스도를 지적한다. [주간 성서 읽기; 참조 「왕」 117-18면 4, 5항.]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52-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